earticle

논문검색

특집 논문 : 동학농민혁명과 충청도 태안

태안지역의 동학포덕과 조직화 그리고 동학농민혁명

원문정보

Donghak Podeok and Organization in Taean Region and Donghak Peasant Revolution

임형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aepo area, which includes Taean, Chungcheong-do, has both coastal and inland areas, and has traditionally been an area rich in products. The vast plains and portholes created on each coast were always overflowing with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The Yangban class settled in Naepo from early on, and they concentrated their ownership of the land by using their social status. Therefore, the people of Taean were in an area with more severe life and relative deprivation than any other area, such as facing economic difficulties. Donghak’s teachings spread more rapidly in places where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relative deprivation is large, such as in the Naepo area. It was due to the wind of Donghak, which was started in Naepo, around 1880. Choi Hyeong-soon was the first to enter Donghak in Taean in 1890. Choi Hyung-soon devoted Donghak Podeok mainly to Seosan and Taean regions. However, it was Park Hee-in who greatly expanded Donghak in the Taean region. With Park Hee-in’s efforts, Donghak expanded to the northeastern regions of Naepo regions such as Onyang, Sinchang, Dangjin and Yesan, as well as the southwestern regions such as Taean, Seosan, Haemi, Hongju, and Nampo. Most of Taean’s Donghak leaders were led by Park Hee-in. The forces of Donghak in Taean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Gyojosin-won-movement, which began in 1893. At the Boeun Congress, Park Hee-in was appointed as a Yepodaejeobju and took charge of the Taean area.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aepo area began in earnest following the mobilization order of Choi Si-hyung in the year of September 18, 1894. Park Hee-in got up in Seosan and Taean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fterwards, Donghak-gun in Taean defeated the Japanese, Gwangun, and Yuhoe Army in the Battle of Seungjeongok and Gwanjak-ri in Shinryewon and gathered at Hongjuseong Fortress. However, Donghak in Taean, who was defeated in the Battle of Hongjuseong, suffered tremendous damage in the process of retreating and disbanding. The ruling power of Joseon, who attracted foreign powers to protect the vested rights, was recorded as a loser of history, although it won. However, even though they were defeated in battle, the ideal society that Donghak pursued was forever recorded as a victor of history. An example of that victory was Taean Donghak in Naepo area and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aean.

한국어

충청도 태안이 포함된 내포지역은 해안과 내륙을 겸비한 곳으로 전통적으로 물산이 풍부한 지역이었다. 드넓은 평야와 해안마다 생성된 포구에는 항상 농산물과 수산물로 넘쳐나 있었다. 이러한 지리적 환경으로 인해 내포지역은 일찍부터 양반사족이 정착하였으며, 이들은 신분적 사회적 지위를 이용하여 토지의 소유를 집중하였다. 따라서 태안 지역민들은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지는 등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극심한 생활고와 상대적 박탈감이 큰 지역이었다. 동학의 가르침은 내포 지역처럼 빈부격차 심하고 상대적 박탈감이 큰 곳에서는 더욱 확산되는 속도가 빨랐다. 태안지역에 본격적으로 동학이 전파된 것은 1880년경 내포지역에서 사작된 동학의 바람에 의해서였다. 1890년 태안에서 최초로 동학에 입도한 이는 최형순이다. 최형순은 주로 서산과 태안지방을 중심으로 동학을 포덕하였다. 그러나 태안지방에 동학을 크게 확장시킨 사람은 박희인이었다. 1880년대 초 박인호와 그에 의하여 동학에 입도한 박희인은 내포지역 동학 지도자로 급성장하였다. 이들의 활약으로 동학 교세는 온양, 신창, 당진, 예산 등 내포지역의 동북부뿐만 아니라 태안과 서산, 해미, 홍주, 남포 등 서남부지역까지 포교하였다. 특히 박희인은 주로 서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예포를 형성하였고 태안은 예포에 속한 지역이었다. 태안의 동학 지도자들 대부분은 박희인의 휘하였다고 할 수 있다. 박인호는 동북부를 중심으로 덕포를 형성하였다. 이들 동학세력은 1893년부터 전개되었던 교조신원운동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보은 척왜양창의운동에서 박인호는 덕포대접주, 박희인은 예포대접주로 내포지역을 양분하였다. 내포지역의 동학농민혁명은 갑오년 9월 18일의 해월 최시형의 총기포령에 따라 본격화되었다. 박희인은 서산과 태안에서 기포하여 동학농민혁명에 적극 참여하였다. 이후 태안의 동학군은 승전곡 전투와 신례원 관작리 전투에서 일본군, 관군, 유회군을 격파하고 홍주성에 집결하였다. 그러나 홍주성 전투에서 대패한 내포지역 동학군은 후퇴와 해산을 거듭하면서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기득권을 지키고자 외세를 끌어들인 조선의 지배세력은 비록 승리하였지만 역사의 패배자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비록 전투에서는 패배했지만 동학이 추구했던 이상사회는 영원히 역사의 승리자로 기록되었다. 그 승리의 사례가 바로 내포지역의 태안동학이었고 태안의 동학농민혁명이었다.

목차

국문초록
1. 여는 글
Ⅱ. 충청도 서부지역의 동학 유입
Ⅲ. 태안 동학 유입과 내포지역 동학의 조직화
Ⅳ. ‘9.18 총동원령’과 태안 동학의 동학농민혁명
Ⅴ.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형진 Hyeongjin Im.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