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투고논문>

민속춤의 연행맥락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 정병호의 저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to Build a Folk Dance Database in Performance Context - Focused on a Book by Chung Byung-ho -

이정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eks to make a classification chart due to build a database in which folk dance is placed and connected in its original Performance context. Firstly, the researcher divided folk dance into five events, including shamanism, Nongak (Instrumental music of peasants), mask dance, Sori dance, Heoteun dance and cover dance, to connect their respective feast context to folk dance. Since each of folk dances was performed in different characters, it is important to set the basis of Performance context accordingly. So shamanistic dance was set for feast character, Nongak dance for its period of time, mask dance for its theme, Sori dance for Performance period of time and performer, and finally, Heoteun dance and cover dance for Performance region and performer, as to the starting point of context. Secondly, dance was connected to more immediate, detailed elements (dance description, dancing tools, dancing costume and dance music. This would tell you about by what design each of folk dances originally became Performance and then would allow grasping dances connected in lower context by appreciating the original intent, role and meaning of Performance, not simply by focusing on artistic and functional aspects. Besides, this attempt would make it convenient to underst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folk dances by enabling to compare between the same events of dance easily.

한국어

본 연구는 민속춤을 본래의 연행맥락에 위치ㆍ연결시킨 데이터베이스 체계 구축 을 위한 분류 체계도를 만들기 위해 마련되었다. 연구자는 1차로 민속춤을 무속춤, 농 악춤, 탈춤, 소리춤, 허튼춤 및 모방춤 총 5가지 종목으로 나누어 각각의 민속춤에 대 한 연행맥락을 연결하고자 했다. 민속춤들은 저마다 다른 성격을 가지고 연행되었기 때문에 연행맥락의 기반 또한 이에 맞게 설정해주어야 하는데, 무속춤은 연행성격ㆍ농악춤은 연행시기ㆍ탈춤은 연행주제ㆍ소리춤은 연행시기 및 연희자ㆍ허튼춤 및 모방춤 은 연행지역 및 연희자로 맥락의 출발 지점을 설정하였다. 2차로는 춤과 좀 더 직접적 인 세부 요소(춤 설명, 무구(舞具), 무복(舞服), 무악(舞樂))를 연결했다. 이로써 각각 의 민속춤이 본래 어떤 목적에서 연행하게 된 것인지 알 수 있고, 이후 하위맥락으로 연결된 춤 또한 예술적ㆍ기능적인 측면 중심보다는 본래의 연행 의도와 역할 및 의미 를 감지하면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고 본다. 또한 같은 종목 간의 춤 비교를 쉽게 할 수 있어 민속춤의 지역적 특성도 이해하기 편리해졌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민속춤의 연행맥락과 연관 요소들
1. 세시 주기에 따른 민속춤의 연행맥락
2. 무속춤의 연행맥락과 연관 요소
3. 농악춤의 연행맥락과 연관 요소
4. 탈춤의 연행맥락과 연관 요소
5. 소리춤의 연행맥락과 연관 요소
6. 허튼춤 및 모방춤의 연행맥락과 연관 요소
Ⅲ. 민속춤의 연행맥락 정보 데이터베이스 체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노 Lee, Jeung Ro.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