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투고논문>

최제우의 世界認識을 통한 민중미술의 美意識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Minjung Art through Choi Je-u’s World Perception

최제우의 세계인식을 통한 민중미술의 미의식연구

김윤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oi Je-u presented a few perspectives while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character ‘Si(侍)’ of ‘Sicheonju(侍天主, serving the heavenly God)’. The first is a perspective on human beings of mind[心, emphasizing mind] through ‘Naeyusillyeong(內有神靈, having the divine spirit inside)’. The second is a perspective on nature of life[生, respecting for life] through ‘Oeyugihwa(外有氣化, harmonizing with the energy of heaven outside)’. The third is a perspective on morality of service[侍, unifying all things]’ through ‘Gakjiburi(各知不移, recognizing that human is heaven and having an attitude to put it into practice).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se three perspectives as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ld perception, I examined artistry based on them. Choi Je-U considered that nature and human as an equal relationship that cannot be superior to each other saying that the Heaven mind is the very Human mind[天心卽人心]. It is because he thought that human and the universe cannot be thought of separately and each other itself refers to the other. Based on the perspective on human being of Naeyusillyeong(內有神靈), Park Saeng-gwang acknowledged the shamanic value of the mediator who connects the heaven and humans in , and O Yun realized the aesthetics of ugliness(醜) through the dokkaebi in . In the same context, in addition, Chusa Kim Jeong-hui’s 〈Panjeon(板殿)〉is the art work that completed the aesthetics of abnormality(怪). Choi Je-U also argued that the principle of completing the law of calligraphy lies in one mind. In addition, Choi Je-u regarded the energy of life as an aesthetic value and respected for it based on the perspective on nature of ‘Oeyugihwa(外 有氣化)’, and that was found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respecting for the earth that was foundation of human beings in Shin Hak-cheol's 〈Monaegi(Rice Transplantation)〉. In addition, Kang Yo-bae, through the pi hexagram(天地否卦), embodied the fact that humans managed to cling on to life in a situation where the principle of life of yin and yang is collapsed due to the gap between the nature(human) symbolized as farmers and the material civilization. In addition, O Yun showed the feeling of movement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the shape using a sword in , and Park Saeng-gwang showed life force through the contrast of our original color sense in . Lastly, Choi Je-u had the perspective of morality of ‘Gakjiburi(各知不移)’ that everyone should recognize that human is heaven and have an attitude to put it into practice. Through his perspective of morality, we can see that he considered the pursuit of peace through solidarity as an aesthetic value. Hong Seong-dam contains a dream for a world of peace in which all people become one transcending all kinds of discrimination and violence through solidarity in 〈Daedongsasang(Thought of Great Unity〉 and 〈Hwaetbulhaengjin(Torch March)〉. Moreover, O Yun’s and Park Saeng-gwang’s contains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struggle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They tried to deliver the message of Great Unity and lead the people into the right path through the works with their devotion based on Choi Je-u’s thought of arguing to recognize the dignity of all things and to respect it.

한국어

최제우가 ‘侍天主’의 ‘侍’자를 해설하며 남긴 ‘內有神靈’에서의 ‘心[마음중시]’적 人間觀과 ‘外有氣化’에서의 ‘生[생명존중]’적 自然觀그리고 ‘各知不移’에서의 ‘侍[만물일 체]’적 道德觀이 그가 가진 세계 인식적 특징이라고 보고 이를 토대로 예술성을 살펴보 았다. 최제우가 天心이 곧 人心(天心卽人心)이라고 한 것은 인간과 우주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으며 서로가 그 자체로 상대를 가리키기 때문에 자연과 인간 사이를 서로 우위를 따질 수 없는 동등한 관계로 본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를 품고 있는 ‘內有神靈’ 의 인간관을 토대로 박생광은 〈무당12〉에서 하늘과 인간을 연결하는 매개자의 巫적 가치를 인정했고 오윤은 〈낮도깨비〉에서 도깨비를 통해 ‘醜의 미학’을 실현했다. 그 리고 같은 맥락의 ‘怪의 미학’을 완성한 작품이 추사의 〈板殿〉이며 최제우 또한 筆法 을 이루는 이치가 一心에 있음을 밝혔다. 또한 최제우가 天을 외면화한 ‘外有氣化’의 자연관을 바탕으로 생명의 ‘氣’를 미 적 가치로 여기고 존중한 것이 신학철의 〈모내기〉에서 우리를 직접 이룬 밑바탕이 된 땅을 존중하고 이를 형상화하는 것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또한 강요배는 〈맥잡 기〉에서 天地否卦를 통해 농민으로 상징되는 자연(인간)과 물질문명의 괴리로 인한 음과 양의 생명의 원리가 무너진 상황에서 인간이 생명의 脈을 부여잡고 있는 것을 형 상화했다. 그리고 오윤은 〈북춤〉에서 칼을 사용한 형상의 단순화를 통한 생동감을 드러냈고 박생광은 〈토함산 해돋이〉에서 우리 고유의 色感적 대비를 통해 생명력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인간이 바로 천이라는 것을 모두 알고 이를 실천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본 최제우의 ‘各知不移’의 도덕관을 통해 그가 연대를 통한 평화의 추구를 미적 가치로 여긴 것을 알 수 있다. 홍성담은 〈대동사상〉과 〈횃불행진〉에서 연대를 통 해 모든 종류의 차별과 폭력을 넘어서 하나가 되는 평화의 세계를 향한 꿈을 담았다. 그리고 민주와 인권을 위한 투쟁의 사상적 배경을 담은 것이 오윤의 〈칼노래〉와 박 생광의 〈전봉준〉이다. 이들은 최제우가 말한 만물의 존엄성을 인식하고 이를 존중하 고자 한 사상을 바탕으로 자신의 정성을 다한 작품을 통해 大同의 메시지를 전하고 민 중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자 했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최제우의 世界認識과 藝術性
1. 內有神靈의 心的人間觀
2. 外有氣化의 生的自然觀
3. 各知不移의 侍的道德觀
Ⅲ. 최제우의 世界觀과 민중미술에 나타난 美意識
1. 形너머의 心聲
2. 氣韻의 形象化
3. 大同이라는 念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주 Kim, Yun Ju.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문화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