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산해양박물관 ‘바다와 예술’ 특집>

고운 최치원의 ‘風流’와 <海雲臺石刻>

원문정보

Goun Choi Chi-won's "Pungryu(風流)" and "Haeundae Seokgak(海雲臺石刻)"

고운 최치원의 ‘풍류’와 <해운대석각>

장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oun Choi Chi-won(857-?) made his name for himself as a writer, serving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posts for more than a decade after returning from studying abroad in the Tang Dynasty. Having experienced the rebellion of Huáng Cháo(黄巢) in the Tang Dynasty, he tried to correct promiscuous politics by raising about 10 groups of municip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to carry out his career in the face of social humiliation, including corruption in the center and rebellion in the provinces. However, no reform proposals or real wills were accepted by the derogatory people in the social structure. Eventually, he felt frustrated with the royal family and retired from office at the age of 40. Among the places where Choi Chi-won wandered freely, Haeundae is named after his ruler "Haeun(海雲)" and is noteworthy for its large inscription of "Haeundae(海雲臺)" on a wide rock on the cliff south of Dongbaek Island. If Choi Chi-won is mentioned, the key word related to Choi would be "Pungryu(風流)". "Pungryu" is interpreted in various dictionary meanings, including Choi Chi-won's philosophy thought and "Secretary of the Nangrang", which is a strange province that cannot be expressed in words, but the province is not far from humans, and is a spirit of fusion that can communicate the Three Bridges with human self-reliance. This spirit of fusion is a subtle combination that cannot be discussed only on either side of Confucianism, Buddhism, or Taoism. Based on Choi Chi-won's ideas, the current is a "deokpung(德風)" that embraces all ideas with a gentle mind and seeks great harmony beyond division and conflict by self-righteousness and self-reliance. In other words, the custom is the universal sentiment of our people, the 'open mind' that is not insisted on a single religion or idea. The custom of being an open mind is to be 'slow', 'class', 'beautiful' and 'moved'. Choi Chi-won lived an active and fierce life as a scholar at the time, and was a person who escaped from reality by dreaming of ideal as a minister of silver and silver. Haewoondae, where he left his mark, was also a place where his spirit of enlightenment crossed the boundary between Seonbi and Sinseon, and such spirit was engraved on the rocks until today. As Choi Chi-won was reminded of Haeundae in the Joseon Dynasty, the three letters "Haeundae" still represent Choi Chi-won's spirit of wind and current in the midst of a thousand years of wind waves. In other words, just as Choi Chi-won's style is symbolized by the "deokpung" of the gentle Korean people's "open mind", "Haeundae Seokgak(海雲臺石刻)", which has Choi Chi-won's spirit, is also simple, elegant, and beautiful.

한국어

孤雲崔致遠(857-?)은 渡唐유학 후 10여 년 동안 중앙과 지방의 관직을 역임 하면서 문명을 떨쳤다. 특히 당나라에서 황소의 반란을 체험한 바 있는 그는 중앙의 부 패와 지방의 반란 등 사회모순을 직면하여 의욕적으로 경륜을 펼치고자 時務策10여 조를 올리는 등 문란한 정치를 바로잡으려 노력했다. 그러나 사회구조상 진골귀족들에 게 개혁안이나 참정의지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왕실에 대한 좌절감을 느끼고 40여 세의 나이로 관직을 버리고 은거하였다. 최치원이 逍遙自放하며 다닌 곳 중에서 해운대는 그의 자인 ‘海雲’을 따서 이름 한 것으로, 동백섬 남쪽 벼랑의 넓은 바위에 ‘海 雲臺’라는 大字의 암각서가 새겨져 있어 특기할 만하다. 최치원을 거론하면 연관 핵심 키워드가 ‘風流’일 것이다. ‘風流’는 여러 가지 사전 적 의미로 해석되는데 최치원의 철학사상, 鸞郞碑序등과 종합하면 ‘풍류도’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현묘한 도이지만, 그 도는 인간과 멀지 않는 것이며, 인간의 주체적인 마음으로 삼교를 회통할 수 있는 융회의 마음이다. 이러한 융회의 마음은 유․불․도 어느 한편에서만 논의되어질 수 없는 妙合이다. 최치원의 사상에 기초하면, 풍류는 유 순한 心源으로써 모든 사상을 수용하여 독선과 독존에 의한 분열과 갈등을 넘어 大和 를 추구하는 德風이다. 즉, 풍류는 하나의 종교나 사상으로 고집되지 않는 우리 민족의 보편적 정서, 즉 ‘열린 마음’이다. 열린 마음으로서의 풍류는 ‘소탈’하면서도 ‘품격’있고 ‘아름’다우며 ‘감동’시키는 道이다. 최치원은 당시 유자로서 적극적이고 치열한 삶을 살았고, 선가로서 이상을 꿈꾸 며 현실을 초탈했던 인물이었다. 그가 발자취를 남긴 해운대 또한 儒仙의 경계를 넘나 들며 교화를 꿈꾸었던 그의 정신이 깃든 곳이었고, 그러한 정신은 오늘 날까지 바위 위 에 고스란히 새겨져 있다. 조선시대에도 해운대를 떠올리면 최치원을 연상했듯이 千載 의 풍파 속에서도 여전히 ‘海雲臺’라는 세 글자가 최치원의 풍류정신을 묵묵히 대변해 주고 있다. 즉, 최치원의 풍류가 유순한 우리 민족의 ‘열린 마음’의 德風으로 상징되듯 이, 최치원의 얼이 서려있는 <海雲臺石刻> 또한 소탈하면서도 품격이 있고 아름다운 감화가 깃들어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최치원의 사상과 ‘風流’
Ⅲ. <海雲臺石刻>의 풍류미학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지훈 Jang, Ji Hoon.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