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바다에 관한 동양철학적 고찰

원문정보

Oriental Philosophy on the Sea

조민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like European civilization, which was formed around the Mediterranean Sea, the formation of Eastern civilization (concretely Northeast Asia) was not mainstream. The difference in geographical conditions facing European and East Asian countries has resulted in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sea.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of the sea in the Eastern literati culture is basically accompanied by the perception of water. However, attributes such as 'unknown depth', 'wideness' and 'acceptance of beauty and ugliness' held by the sea, were often understood in conjunction with 'Dao' symbols, 'desirable governance related to correct political behavior', 'symbol of true wisdom and knowledge in real life' and sometimes 'life of a reclusive scholar linked to real escape'. In other words, unlike the West, it appeared not as a natural object that humans should overcome and conquer, but as a sea image with "philosophical," "political," "stage of the acquisition of the province" and "the nourishing meaning of Sacred Personality Study." In this regard, the school intended to consider this in connection with the philosophy of Confucian scholars and Taoists, respectively, and with the positive life of Oriental writers. Specifically, the topics such as "Laozi": "Political Sea Based on Femininity Emphasizing Purity and Modesty," "Zhuangzi": "Sea as a symbol of Dao and Large Knowledge Away from Narrow Knowledge," New Confucianism: "Sea understood in terms of Sacred Personality Study" and "Sea as a Symbol of the direction of Hidden and the Utopia" revealed how the sea was understood in the East culture and civilization. In this regard, it was intended to reveal the various meanings of the sea in the Eastern civilization, which were understood at a different level from the status of the sea in the Western civilization.

한국어

유럽 문명이 지중해라는 바다를 중심으로 형성된 것과 달리 동양[구체적으로는 동북아시아] 문명의 형성은 바다는 주류가 아니었다. 유럽과 동아시아 국가가 처한 지 리적 상황의 다름이란 점은 바다에 대한 인식 차이로 나타났다. 특히 동양 문인 문화에 나타난 바다에 대한 인식은 기본적으로 물에 대한 인식과 함께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 한 ‘물’에 대한 인식이라도 바다가 갖는 ‘알 수 없는 깊이’, ‘넓이’, ‘미와 추를 가리는 것 없이 받아들임’ 등과 같은 속성은 ‘道’의 상징, ‘올바른 정치 행위와 관련된 바람직한 통 치술’, ‘현실적 삶에서의 참된 지혜와 지식의 상징’, 때론 ‘현실도피와 연계된 은일적 삶’ 등과 연계되어 이해되곤 하였다. 즉 서양과 달리 인간이 극복하고 정복해야 할 자연대 상으로서 바다가 아니라, ‘철학적’, ‘정치적’, ‘도의 체득의 단계’ 및 ‘성인되는 수양론적 의미’를 지니는 바다 이미지로 나타났다. 이런 점을 본고에서는 이런 점을 각각 儒家철 학 및 道家철학과 연계된 바다 인식 및 동양 문인들이 지향한 긍정적인 삶과 연계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老子』 : ‘柔弱謙下의 여성성에 근간한 정치적 바다’, 『莊子』 : ‘小知에서 벗어난 大知와 道의 상징으로서 바다’, 儒家: ‘聖人되는 공부 측 면에서 이해된 바다’ 및 ‘隱逸과 유토피아 지향의 상징으로서 바다’ 등의 주제를 통해 동양문화와 문명에서 바다가 어떻게 이해되고 인식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런 점을 통해 서양 문명권에서 바다가 차지하는 위상과 다른 차원에서 이해된 동양 문명 권에서의 바다가 갖는 다양한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老子』 : 柔弱謙下의 여성성에 근간한 정치적 바다
Ⅲ. 『莊子』 : 小知에서 벗어난 大知와 道의 상징으로서 바다
Ⅳ. 儒家 : 聖人되는 공부 측면에서 이해된 바다
Ⅴ. 隱逸과 유토피아 지향의 상징으로서 바다
Ⅵ. 나오는 말
<참고문헌>
<부록 : 참고도판>
ABSTRACT

저자정보

  • 조민환 Jo, Min Hwan.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