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년 1인 가구 사역 방안

원문정보

Ministry Methods of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s

강덕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2015,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become the main household type, as of 2019, it became the ‘single-person household era’ with 30.2%. In particular,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s before marriage are mainly derived from academic work and employment. This not only makes the period of staying as a single young adult longer than before, but the number of unintentional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depending on circumstances. As a result, the housing and catering business markets have changed, and ‘Life alone’ has changed the overall lifestyle of Korean society. In addition, polici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re required, so legislations are prepared, and support measures are being implemented through local government ordinances.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the increasing number of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s, the President himself ordered the preparation of a policy packag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However, despite these social changes, it is difficult to find interest in the ministry methods of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church. The ministry not only of the church, but of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s in a high proportion in the church's community, is very important.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living as a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 before leaving their parents and becoming self-reliant, they not only face various difficulties but also have a great influence on whether they are transferred to life cycles such as marriage and childbirth. Therefore, the church should prepare the ministry that meets their need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is paper, two specific ministry methods for this are suggested. The first is the ‘Mission Home’ and ‘DAHAENG-Home’ for residential stability,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biggest demand for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s. The second is career selection, social adjustment and marriage counseling.

한국어

2015년부터 1인 가구가 주 가구 유형이 되었고, 2019년 기준 30.2%로 바야흐로 ‘1인 가구 시대’가 되었다. 특히 결혼 이전까지의 청년 1인 가구는 주로 학업과 취업에서 비롯되는데 이전보다 청년 1인 가구로 지내는 기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상황에 의한 비자의적 1인 가구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주택과 외식업 시장도 변화하고 ‘홀로의 삶’이 한국 사회의 전반적 생활문화까지 바꿔 놓았다. 또한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이 요구되어 법령이 마련되고 지자체의 조례를 통해 지원책이 시행되고 있다. 특별히 청년 1인 가구의 증가에 주목하여 대통령이 직접 1인 가구를 위한 정책 패키지 마련을 주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 변화에도 불구하고 교회의 청년 1인 가구 사역에 대한 관심을 찾아보기 어렵다. 교회뿐 아니라 교회가 속한 지역사회에 높은 비율로 존재하는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사역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부모를 떠나 자립하기 전까지의 청년 시기를 1인 가구로 지내는 경우, 여러 가지 어려움에 처할 뿐 아니라 이후 결혼과 출산 등의 생애 주기로 이양되느냐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청년 1인 가구의 요구에 맞는 사역을 준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역 방안으로 두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는 청년 1인 가구의 가장 큰 요구로 꼽는 주거 안정을 위한 미션홈(Mission Home)과 다행홈(多幸-Home) 사역이다. 둘째는 진로 선택과 사회 적응 및 결혼 상담 사역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청년 1인 가구 이해
1. 청년 1인 가구 정의
2. 청년 1인 가구 특성
III. 청년 1인 가구 주거 안정을 위한 미션홈·다행홈 사역
1.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안정, 주택의 요구
2. 미션홈(Mission Home) · 다행홈(多幸-Home) 사역
IV. 청년 1인 가구 진로 선택과 사회 적응 및 결혼 상담
1. 청년 1인 가구의 세 가지 상담 요구
2. 청년 1인 가구 맞춤 상담
V.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덕구 Kang, Duk-Ku. 성결대학교 외래교수 / 실천신학 / 목회사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