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버지 부재와 신앙 : 정신역동적 고찰

원문정보

The Absence of a Father and Christian Faith : A Psychodynamic Perspective

이창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ole that a father or father figure plays in the formation of one’s Christian faith. Relying heavily on a psychological study by Paul Vitz, a renowned Christian psychologist at New York University who claims that the quality of one’s relationship with his or her father determines one’s religious beliefs, this paper endeavors to explore the impact of good fathering on a child’s spiritual life. According to Vitz’s study, a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 with one’s father influences the formation of one’s Christian belief. After carefully examining many influential figures—thinkers, philosophers, and politicians in modern Western society—Vitz found that many atheists had abusive fathers; fathers who passed away prematurely; or fathers who had little impact on their children. From this, Vitz conjectured that a father’s relationship with his child c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is child’s religious formation. This paper also attempts to analyze the psychodynamics of a father-child relationship, using the psychotherapeutic theory of self psychology, invented by Heinz Kohut. Kohut believed that by being a good “selfobject” for his child, a father could help his child develop into a healthy and trustworthy person. This paper suggests several practical means for a father to be a reliable selfobject: through the father’s self-awareness as a person; through hi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mpathetic communication with children; through his acceptance of his own limitations and shortcomings; and through the cultivation of his humor.

한국어

“고개 숙인 아버지”라는 말이 한때 유행어가 된 적이 있을 정도로 현 시대는 아버지 부재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논문은 아버지 부재가 자녀들에게 미치는 신앙적 영향력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면서 이 시대 아버지 됨의 자세와 태도에 대해 고찰한다. 특히, 정신역동적 관점에서 아버지와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경험이 기독교 신앙 형성에 주는 의미와 영향에 대해 살펴보며,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좋은 아버지가 된다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그런 아버지가 될 수 있는지 목회상담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가 신앙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폴 비츠(Paul Vitz)의 심리학적 연구를 살펴보았으며, 하나님을 거부하는 무신론의 근저에 아버지와의 심리적인 관계의 문제가 있음을 소개하였다. 비츠는 서구의 유명한 철학자, 저술가, 사상가, 정치가들의 삶을 심리학적으로 조사했는데, 그 결과 주요 무신론자들의 아버지는 일찍 사별하거나 존재감이 없는 유약한 아버지, 또는 자녀를 학대하는 아버지였던 반면, 주요 유신론자들의 아버지는 대부분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졌음을 밝혀내었다. 아버지와의 관계 경험이 자녀들의 신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비츠의 아버지 부재와 무신론 신앙 연구가 제공하는 통찰을 토대로 하여, 본 논문은 자녀와의 바른 관계 형성을 위한 아버지의 역할과 자세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하인츠 코헛(Heinz Kohut)의 자기 심리학(self psychology) 이론을 활용하여 긍정적인 “자기 대상”(selfobject)로서의 아버지 됨에 대해 고찰한다. 위대하고 강하지만 자기를 지지해주는 대상, 아이들의 자기애적 욕구에 대해 인정과 지지를 제공해 주는 대상으로서의 아버지의 역할에 대해 중요성을 부각한다. 그리고 좋은 자기대상으로서의 아버지가 되기 위해 아버지로서 자신에 대한 정직한 점검, 공감적인 의사소통과 대화, 자신의 유한성에 대한 수용적 자세, 삶의 여유와 넉넉함 간직하기 등 구체적인 상담적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아버지 부재와 무신론 신앙
III. 자기심리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좋은 아버지 되기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창규 Lee, Chang-Kyoo.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목회상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