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Validity of Recruiting Selection Tools by Public Institutions : Focused on the Case of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validity of the BasicOccupationAbility Test and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Test, which are representative selection tools for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recruitment, to suggest effective selection systems for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hiring in 2020 by the Korea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wo test scor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candidate's perception of validitywas conducted.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wo test scores of 588 test taker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tools was 0.1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test scores of 89 students who passed the test was 0.23.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alidity of the Basic OccupationAbility Test and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Test.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validity of the two tools was investigated with 84 interviewees. 44 participants (53%) responded positively to the validity of the Basic Occupation Ability Test. 60 participants (71%) responded positively to the validity of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idity of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Test was higher then the Basic Occupation Ability Tes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lternative pla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recruitment was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NCS 기반 채용의 대표적 필기전형 도구인 NCS직업기초능력평가와 NCS직무수행능력평가의 타당도를 비교하여 공공기관의 효 과적인 채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0년 제1차 채용 결과를 바탕으로 두 시험점수 간 상관분 석과 응시자의 타당도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필기전형 응시자 588명의 두 시험점수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두 도구 간 상관계수는 0.11로 나타났다. 필기전형 합격자 89명의 두 시험 점수 간 상관계수는 0.23로 나타났다. 따라서 NCS직업기초능력평 가와 NCS직무수행능력평가의 타당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면접전형 대상자 84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도구의 타당도에 대한 인 식을 조사하였다. NCS직업기초능력평가의 타당도에 대하여 44명(53%)이 긍정적으로 답변한 반면, NCS직무수행능력평가의 타당도에 대해서 는 60명(71%)이 긍정적으로 답변해 응시자들은 NCS직무수행능력평가의 타당도가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NCS 기반 채용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채용 도구에 대한 이론적 논의
2.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채용 제도
3. 가설 설정
III. 연구 방법
1. 필기전형도구 간 상관관계
2. 도구의 타당도 인식 조사
IV. 연구 분석
1. 필기전형도구 간 상관관계
2. 도구의 타당도 인식 조사
3. 분석 결과
V. 논의 및 결론
1. 결론
2. 연구의 한계
3.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