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자발적공시 수준과 감사시간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직급별 감사시간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Disclosure and Audit Hour : Focus on Position-Specific Audit Hour

권오진, 김범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 whether auditors increase audit efforts by recognizing voluntary disclosure activities of managers as factors that increase audit risk. Managers carry out disclosures to increase firm value and lower capital costs by mitigat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he firm and stakeholders(Lang and Lundholm 1996; Sengupta 1998; Frankel et al. 1995; Botosan 1997; Francis et al. 2008; Kim Yeon-hwa, Son Sung-kyu 2007; LeeMin-young, ShinHo-young 2010; Hwang Kook-jae, KimKi-bum2013). However, if any of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ager through disclosure is reflected in the financial statements, this may increase the audit effort a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auditor's audit risk. On the other hand, audit qualitymay vary depending on howthe audit teamis formed(Francis et al. 2011). Audit quality can be enhanced if the audit team is formed with members who have experience and expertise in audit work and have a high understanding of the audited company and the industry to which it belong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evance between the level of voluntary disclosure and the position-specific audit hour to ensure that auditors of each positionwere assig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voluntary disclosure.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voluntary disclosure and the auditor hour.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audit efforts by an auditor if themanager voluntarily disclos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m.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ntary disclosure level of the company and the audit hours of experts, such as quality control reviewers, job performance directors, registered certified accountants, and computer audits, taxation, and valuation.When an auditor recognizes an firm’s voluntary disclosure activities as audit risk, it can be interpreted that members with expertise and experience will be put into audit work. Significant relevance could not be confirmed for probationary public accountants, apparently due to the nature of probationary public accountantswho conduct audits under the supervision of auditors in the higher rank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is a discriminatory response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firm's disclosure information. While previous studies mainly suggested that voluntary disclosure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any by mitigating information asymmetry in terms of external stakeholders, this study reported that it could be a factor in increasing audit risk in terms of auditors. Further, the audit-related research was expanded by suggesting that the level of voluntary disclosure could act as a factor in determining auditors' audit efforts.

한국어

본 연구는 감사인이 경영자의 자발적공시 활동에 대해 감사인이 감사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인식하여 감사노력을 증가하는지를 살펴보고 자 한다. 경영자는 기업과 외부이해관계자간의 정보비대칭문제를 완화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자본비용을 낮추기 위해 공시를 수행한 다(Lang and Lundholm1996; Sengupta 1998; Frankel et al. 1995; Botosan 1997; Francis et al. 2008; 김연화, 손성규 2007; 이민영, 신호영 2010; 황 국재, 김기범 2013). 하지만, 경영자가 공시를 통해 제공한 정보 중 재무제표에 반영하는 정보가 존재한다면, 이는 감사인의 감사위험을 증가시키 는 요인으로 보아 감사노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감사품질은 감사업무에 투입되는 감사팀 구성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Francis et al. 2011), 감사업무와 관련하여 경험과 전문성을 갖추고 피감사기업 및 피감사기업이 속한 산업에 대한 이해가 높은 구성원으로 감사 팀을 구성한다면 감사품질은 제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 활동에 대해 직급별 감사인을 차별적으로 투입하는지 를 확인하기 위하여 직급별 감사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자발적공시 수준과 직급별감사시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결과, 기업의 자발적공시 수준과 감사인의 총감사시간 간에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가 정보비 대칭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업과 관련된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시할 경우 감사인은 이에 대하여 감사위험으로 인식하여 감사노력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공시 수준과 품질관리검토자, 업무수행이사, 등록공인회계사, 전산감사·세무·가치평가 등 전 문가의 감사시간 간에는 유의한 양(+)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사인이 기업의 자발적공시 활동에 대해 감사위험으로 인식 한 경우,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구성원 위주로 감사업무에 투입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수습공인회계사의 경우 유의한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었는데, 이는 감사업무 보조 또는 상위 직급 감사인의 감시 하에 감사업무를 수행하는 수습공인회계사의 특성 때문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기업의 공시 정보를 접하는 주체에 따라 차별적인 반응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들은 자발적 공 시가 외부이해관계자 측면에서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여 기업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다는 것을 주로 제시한 반면, 본 연구는 감사인 측면에서 감사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또한 자발적공시 수준이 감사인의 감사노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 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감사관련 연구를 확장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1. 자발적공시에 관한 선행연구
2. 자발적공시와 감사인의 노력
III. 연구 설계
1. 연구모형의 설정
2. 자료수집 및 표본선정
IV. 실증분석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2. 자발적공시 수준과 총감사시간 간의 관련성에대한 분석
3. 자발적공시 수준과 직급별감사시간 간의관련성에 대한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오진 Kwon, Oh-Jin. 강남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조교수
  • 김범건 Kim, Beom-Geon.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