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화상회의방식을 활용한 이야기치료 온라인 집단상담의 효과와 특성 연구 : 대면 집단상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Effects and Traits of Online Narrative Group Counseling using Videoconferencing Modality : Comparing with face-to-face Group Counseling

오윤석, 조은숙

피인용수 : 2(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and traits of narrative online group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by comparing them with face-to-face group counseling. For this purpose, 18 college students were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 (videoconferencing method, using “Zoom”), comparison group (face-to-face method), and control group (no treatment). 8 sessions of narrativ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two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 scores of ‘self-identity’ and ‘relationshi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identity’ in both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while positive change in ‘relationship’ was only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traits of online group counseling experience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post-interview data asking about their counseling experience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despite the various limitations, the context of online group counseling showed similar effects to face-to-face group counseling,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group counseling.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위한 이야기치료 온라인 집단상담의 효과와 특성을 대면 집단상담과 비교하여 파악하는데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대학생 18명을 각각 6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여 실험집단에는 Zoom을 활용한 화상 집단상담을, 비교집단에는 대면 집단상담을 각 8회기씩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비 모수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 검증을 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에서 자아정체감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의 긍정적 변화는 실험집단에서만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 타났다. 내담자 경험을 묻는 사후면접자료 분석을 통해 화상집단상담과 대면집단상담 내담자들의 경험 특성을 비교하여 온라인 집단상담 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화상 집단상담이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대면 집단상담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맥락 이 나타났으며, 온라인 집단상담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실험설계
3. 프로그램 실시절차
4. 측정도구
5.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회기구성
6.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양적 자료 분석
2. 질적 자료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오윤석 Yoonseok Oh. 정회원,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박사과정
  • 조은숙 Eunsuk Cho. 정회원,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