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圓嶠 李匡師의 書藝論과 書藝審美

원문정보

The Calligraphy theory and the aesthetic of Calligraphy on Wongyo Lee KwangSa

원교 이광사의 서예론과 서예심미

김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ongyo Lee KwangSa (1705~1777) is a scholar and artist who represented an era in the period of change and revival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the 18th century. In 1755 (31st Yeongjo), he was transferred to Sinjido due to the Naju Byeokseo Incident, and died in exile for a total of 23 years. He tried to correct the problems of the flow of calligraphy in common writing and the flow of calligraphy in the Joseon Dynasty, and wrote 『Wonkyo Seogyeol』. By realizing an original artistic state that is evaluated as having completed the 'Dongguk Jinche', which is a unique and subjective and self-conscious calligraphic flow of the Korean people who wants to reestablish the essence of calligraphy, it has had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Honam area. Wonkyo's calligraphy aesthetics are developed into the beauty of ChanggyeongBalsog based on Shimjin of Yangminghak, Yanggangmi of Power of controlling all the stands of brush hair, and Vitality of Push out the brush with all your might. He recognized free sculpting and energetic, muscular strokes as the key to calligraphy, and suggested honing the old tombstones written in JeonYe. Vibrant stroke means that Cheongi naturally permeates in the midst of Samgwa and Gilgok, and the brush is operated with Push out the brush with all your might of Power of controlling all the stands of brush hair. These calligraphy aesthetics radiated sinchae with geungol and singi, and were expressed in Wongyo font, full of vitality as a living creature, pursuing the unique pilgrimage and pilgrimage unique to our nation, revealing the true nature of nature.

한국어

圓嶠李匡師(1705~1777)는 18C 문예부흥기에서 한 시대를 대표했던 학자 예술가이다. 1755년(영조31) 나주벽 서사건으로 인해 연좌, 완도군 薪智島로 이배되어 총 23년간의 유배생활 끝에 운명하였다. 이때 俗筆로 흐른 서법과 서풍의 문제점을 바로 잡고자『圓嶠書訣』을 집필하였고, 서법적으로 본질을 새롭게 정립코자 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주체적·자각적 서풍인 東國眞體를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는 독창적 서예술 구현으로 호남 일대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 쳤다. 圓嶠의 서예심미는 양명학의 心眞을 근저로 하는 ‘蒼勁拔俗의 嚴密美’,‘萬毫齊力의 陽剛美’,‘盡力推展의 生命美’로 전개된다. 그는 올바른 필법 구사를 위해서는 자유로운 조형과 생기가 있는 筋骨畫意를 서예의 관건으로 인식하고 篆隷古碑의 연마를 제안하였다. 생기가 있는 획이란 三過와 佶曲하는 가운데 蒼勁拔俗하여 자연스럽게 天機가 스며 들고, 필묵은 萬毫齊力의 推展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서예심미는 三過折筆과 佶屈宛轉, 萬毫齊力과 推展去등 의 필법이 뒷받침되어 筋骨과 神氣로써 神彩를 드러내었고, 우리 민족 고유의 독창적 필세와 필의를 추구하고, 천연 의 眞性을 드러내며 活物로써의 생명력 넘치는 圓嶠體로 발현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圓嶠의 學書과정과 『書訣』의 서예론
1. 圓嶠의 생애와 學書과정
2. 圓嶠『書訣』의 서예론
Ⅲ. 圓嶠書藝의 美學的특징
1. 蒼勁拔俗의 嚴密美
2. 萬毫齊力의 陽剛美
3. 盡力推展의 生命美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도영 Kim Doyoung. 학술이사, 예원예술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문화재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