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도시재생사업 유형화를 통한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의 계획적 적합성 연구 : 서울시 27개소 활성화지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appropriateness as a plan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ype analysis : Focused on Seoul’s 27 urban regeneration areas -

박현정, 이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adays, the flow of urban management policy has shifted from development-focused one to urban regeneration oriented one wher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coexist. Therefore, this study categorized detailed projects based on the project composition contents of the announced revitalization plan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appropriateness as a plan whether projects desired by residents are in keeping with the basic goal of urban regeneration, that is the tru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business. As a result an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by type, it is analyzed that Neighborhood Regeneration has a high proportion of physical projects for residential / living environment regeneration, Utilization of local asset Regeneration has a high number of programs specializing in industrial and historical culture based on local assets, and Urban Economic Regeneration has focused on physical projects such as industries and infrastructure as the center to create new competitivenes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rveys conducted by residents,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lan has been established in consistent with goals of urban regeneration by type and demands from resid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construc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so that actual effects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typ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even when monitor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type and verifying their accomplishments.

한국어

오늘날 도시관리의 정책의 흐름은 과거 성장중심에서 관리‧보존이 공존하는 도시재생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전환되어 왔으며, `19년 현재 정부지원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전국에 총 329개소와 서울시에서 47개소의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 지정‧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법 도입초기 진행된 도시재생사업의 공공예산사업이 끝나는 시점에서 도시재생 유형별 도시재생사업이 어떠한 특성으로 구성되었는지에 대하여 고시된 활성화계획의 사업구성 내용을 토대로 유형화하고 도시재생사업의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게 주민이 원하는 사업이 도시재생의 기본목표와 정합성을 가지는지 활성화계획의 계획적 적합성을 실증분석 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 유형별 목적에 부합하게 근린재생형은 주거/생활환경재생을 위한 물리적 사업의 비중이 높고, 중심시가지형은 지역자산에 기반한 산업‧역사문화 특화를 위한 프로그램 사업이 높음을 알 수 있으며, 경제기반형은 새로운 경쟁력을 창출을 위해 산업, 기반시설 등의 물리적 사업이 중심이 되어 계획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도시재생지역의 주민(상인)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결과 활성화계획이 주민의 요구에 부합하게 수립되었음을 검증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유형별 도시재생사업을 모니터링하고 성과를 검증 할 때도 이와 같은 도시재생사업 유형화에 따라 실제적인 효과가 측정될 수 있게 평가지표 구성에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서울시 도시재생 체계 및 방향
2.2. 선행 연구 고찰
2.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 분석의 틀 및 기초자료 분석
3.1. 연구 분석의 틀 설정
3.2. 분석자료 조사
4.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유형구분
4.1. 사업내용에 따른 도시재생사업 유형화
4.2. 도시재생 단위사업 유형별 특성
5. 전략계획의 목표와의 정합성 및 주민요구에 대한 부합성 실증 분석
5.1. 전략계획의 유형별 목표와 정합성
5.2. 주민요구에 대한 부합성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현정 Park, Hyun Jung.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 박사과정/서울특별시 주무관
  • 이희정 Lee, Hee Chung.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