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COVID-19 시대의 Korea 뉴딜의 성공전략 : 교육뉴딜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itle: Successful Strategies of the Korea New Deal in the COVID-19 Era – Focused on the Education New Deal -

기정훈, 조덕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rapidly developing into an intelligent society beyond a knowledge society. However, ‘staying here’ can be an economically prosperous society, but it can never be a happy one. We must make sure that all members of society go to a happy society, which is practicable through people armed with community values and creativity. Tripod never falls easily, and if Korea New Deal and Education New Deal are fused, they will be able to continuously provide creative ideas. In the COVID-19 era, the convergence triangle pedestal (or Tripod) of digital + green + education New Deal will guide our country into a wise and happy society. This will be a leading navigation system that will not fall on either side, converge and balance each other, and guide the Republic of Korea to a new world that no one has ever been to, while realizing the global economy and community values in the future. Therefor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Tripod New Deal beyond the current two legged Korea New Deal,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convergence of the three bridges (digital + green + education) should be urgently prepared.

한국어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지식(knowledge)사회를 넘어 지능(intelligence)사회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그렇지만 여기에 머물러서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사회는 될 수 있지만 결코 행복한 사회가 될 수 있다. 우리는 반드시 사회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지혜 사회(wisdom society)로 가야만 하며, 이는 공동체가치와 창의력으로 무장된 사람을 통해서 실천 가능해 진다. 삼각대는 결코 쉽게 넘어지지 않으며, Korea 뉴딜(디지털+그린)과 교육 뉴딜이 융합될 경우 지속적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시대에 있어서 교육 + 디지털 + 그린 뉴딜의 융합 삼각 받침대는 우리나라를 지혜롭고 행복한 사회로 안내할 것이다. 이는 어느 쪽으로도 넘어지지 않고 서로 융합과 균형을 이루면서 향후 대한민국이 세계 경제와 공동체 가치를 구현하면서 아무도 가보지 않은 새로운 세상으로 잘 안내하는 선도적 내비게이션이 될 것이다. 따라서 Korea 뉴딜을 넘어 삼각대 뉴딜의 도입과 함께 세 다리(교육+디지털+그린)의 성공적인 융합을 위한 전략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세계 선도국으로 발전하는 핵심전략이 되어야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Korea (디지털+그린) 뉴딜의 등장
2.1. Korea (디지털+그린) 뉴딜의 배경과 조건
2.2. Korea (디지털+그린) 뉴딜의 필요성과 미래 변화상
2.3. Korea (디지털+그린) 뉴딜의 구조, 투자계획, 추진체계 및 일자리 효과
3. Korea 삼각대 (디지털+그린+교육) 뉴딜의 필요성
3.1. 시대적 요청과 Korea (디지털+그린) 뉴딜의 한계
3.2. 대한민국의 저력과 핵심가치로서의 교육
4. 교육(education) 뉴딜의 중요성
4.1.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적인 과제
4.2. 교육(education) 뉴딜의 방향
4.3. 교육(education) 뉴딜의 실현과 핵심내용
5. 기존 Korea (디지털+그린) 뉴딜과 Korea 삼각대 (디지털+그린+교육) 뉴딜의 비교 분석
5.1. 기존 Korea (디지털+그린) 뉴딜의 한계와 새로운 Korea 삼각대 (디지털+그린+교육) 뉴딜
5.2. 기존 Korea (디지털+그린) 뉴딜의 한계와 새로운 Korea 삼각대 (디지털+그린+교육) 뉴딜 비교 분석
6. 결론과 시사점
6.1. 결론
6.2.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기정훈 Ki, Jung Hoon. 명지대학교 교수
  • 조덕호 Cho, Deok Ho. 대구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