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대한 국제개발협력의 대응 전략

원문정보

A Study of Response Strateg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COVID-19

임형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ven in modern times, infectious diseases have constantly threatened humanity. The Spanish flu broke out from 1918 to 1919. The Spanish flu disappeared after infecting a third of the world's population at the time. Smallpox brought by Europeans killed 90% of Native Americans. The most common microorganisms that cause disease are fungal, bacteria and viruses. The problem is that various causes such as domestication of animals, destruction of animal habitats due to population increas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cities, increase in population movement, and climate warming increase the frequency and extent of infec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other words, population growth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are the causes of infectious diseases. Domestication of animals has brought a zoonosis. As animals became domesticated, human contact increased, and germs adapted to humans appeared. More than 75% of recent human infectious diseases are infectious diseases, and about 250 species are known to date. Cities cluster humans, the host of viruses. As a result, the city acts as an incubator for infectious diseases. On the other hand, the causes of these infectious diseases cannot be easily blocked because they are connected with human survival, lifestyle, and economic and social systems. As humanity increases, human mobility increases, and the area of ​​residence and activity of humanity increases, it is the root cause of contact with new infectious diseases. Therefore, new epidemics will continue to occur, and there is a risk of occurrence more often. This paper considered response direction to COVID-19 the in six dimensions, in other words, medical dimension, leg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 manpower exchange dimension, ethical dimension, political dimension, and spatial dimension.

한국어

이 논문은 우선 팬더믹의 개념을 고찰하고, 팬더믹의 원인으로 미생물, 인구증가와 환경파괴,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와 같은 전염병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오히려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에 초점을 맞추어,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은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2019년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은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가 원인임을 고찰하였다. 즉 이 3가지 전염병이 모두 코로나바이러스라는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한 것임을 고찰하였다. 또 COVID-19의 원인인 SARS-CoV-2(2019-nCoV)가 계통분류학적으로 MERS-CoV 보다는 SARS-CoV에 가까움을 고찰하였다. 한국의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대한 대응을 고찰하였고, 이전의 MERS 사태에서 이루어진 변화와 경험이 어떻게,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대한 국제개발협력에서의 대응전략을 의료적 차원, 법적‧제도적 차원, 인력교류 차원, 윤리적 차원, 정치적 차원, 공간적 차원의 6가지 차원에서 모색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서론
1.2. 연구의 내용과 범위
2. 팬더믹의 원인
2.1. 미생물
2.2. 인구증가와 환경파괴
2.3. 인수공통감염병
3. 코로나바이러스
3.1. 코로나바이러스
3.2.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의 확산과 대응
4. 한국의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 대응
5.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대한 국제개발협력의 대응 방향
5.1. 의료적 차원의 대응
5.2. 법적・제도적 차원의 대응
5.3. 인력교류 차원의 대응
5.4. 윤리적 차원의 대응
5.5. 정치적 차원의 대응
5.6. 공간적 차원의 대응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형백 Lim, Hyung Baek. 성결대학교 국제개발협력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