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거란의 이원적 생산방식과 농업경제발전

원문정보

Two-Way Production Method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Economy in Khitan

나영남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60호 2020.11 pp.323-35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Khitan have lived a nomadic life since the primitive gentile society. However, this mode of production cannot achieve a self-sufficient economy, so they cannot survive on their own unless they are adjacent to agrarian socie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omads and other economic systems. As a result, Khitan can only advance the agricultural economy as a means of survival or obtain what is needed from the outside world. Therefore, apart from nomadic pastures, Khitan also has to grope for various economic means such as plunder, trade and farming. But looting and trading are only temporary and very variable according to the mechanical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refore cannot meet their material needs. To overcome the structural weaknesses of this nomadic economy, Khitan must establish an economic mechanism for continuous access to materials within his own society. Khitan has been concerned about farming since the tribal alliance, but it is not only an inappropriate natural environment but also not in accord with the feelings of nomads, so agricultural production is inefficient, and it is only a minimal means of livelihood. So they turned economic backwardness into military superiority in order to conquer this new form and seek stable exploitation. They forced the transfer of conquered inhabitants through the policy of conquest and emigration. The land south of the Great Wall has preserved its own territory. As a result, in order to effectively rule many ethnic groups, the ruling policy of “rule by custom” was adop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modes of production, customs and ethnic composition in the North and South. Against this background, Khitan gradually established an anti-farm and anti-farming economic system, and finally achieved a two-way economic structure for the herdsmen and farmers. They will not be assimilated by the civilization of the Chinese civilization, maintain their own identity, and pursue the positive coexistence relationship between nomadism and farming. Therefore, as a supplementary means of production for Khitan, farming is confined to certain areas, and it still maintains the inherent emotions and customs of the nomadic society. This is an excellent precedent in the history of setting up a new production style of Chinese domination by immigrants.

한국어

거란은 원시 씨족사회 때부터 줄곧 유목 생활을 했다. 그러나 이런 생산방식은 자급자족하는 경제를 만들 수 없으므로 유목민이나 다른 경제체제가 다른 정주사회와 인접해 있지 않으면 그들만으로 살아남을 수 없다. 결국 거란은 생존 수단으로 농업경제를 추진하거나 외부 사회로부터 필요한 물품을 공급받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거란은 유목 외에 약탈과 교역, 농경 등 다양한 경제수단을 모색해야 했다. 그러나 약탈과 거래는 일시적이고 인접국과의 역학관계에 따라 가변성이 있어 물질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이런 유목경제의 구조적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사회 내에서 지속적으로 물자를 획득할 수 있는 매커니즘을 만들어야 한다. 거란은 부족연맹 시절부터 농경에 관심을 기울였지만 자연환경은 물론 유목민 정서에 맞지 않아 농업 생산성이 떨어지고 최소한의 생계 수단이었다. 그래서 그들은 경제적 후진성을 군사적 우위로 전환하고 이 새로운 형태를 정복하며 안정적인 착취를 추구했다. 그들은 정복과 이주민 정책을 통해 피정복 주민들을 강제로 이주시켰다. 거란지구에는 농경민이 농업생산에 종사하고 있으며, 장성 이남의 경작지까지 자신들의 영토를 지키고 있다. 그 결과, 다양한 종족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남북지역에 따라 생산방식과 생활풍속, 인종을 달리하는 ‘인속이치’의 정책을 채택하였다. 거란은 이런 배경에서 반농반목 경제체제를 갖추기 시작했고, 결국 이원적 경제구조인 목농연합 체제를 실현했다. 중원문명에 동화되지 않고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유목과 농경의 적극적인 공존을 추구한다. 그래서 농경은 거란의 보조적 생산수단으로서 일정한 지역에서만 제한하였다. 그 결과 그들의 고유한 정서와 관습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농업경제를 구축할 수 있었다. 이는 이민족에 의한 중국 지배의 새로운 생산양식을 마련한 역사상 탁월한 선례라고 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생산방식의 추이
1. 부족연맹 시기의 생산 양상
2. 건국 이후 집약농업의 수용
Ⅲ. 이원적 경제구조의 특성
1. “因俗而治”의 구현
2. 부세의 제도의 이원성
Ⅳ.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나영남 Na, Young-Nam.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