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원 지역 동학농민혁명의 민족운동으로의 계승

원문정보

The Succ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o the National Movement of Namwon Region

유바다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60호 2020.11 pp.275-29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Namwon region is where Donghak Peasant Military leader, Kim Gae‐nam(金開南) lived, from early on, i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the stud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refore, most of the research that can be conducted has been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amwon region.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Donghak followers from Namwon afte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the “SunGyoYakRyeok(殉敎畧歷)” published in 1924 by Namwon County Jongriwon(南原郡宗理院). However, one thing regrettable is the lack of pursuit of post‐revolutionary activities based on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rticipants officially recognized by the Honor Restoration Deliberation Committee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rticipants under the Prime Minister.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focusing on officially recognized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rticipants by contrast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Patriots of National Merit who were also officially selected by the Bureau of Veterans Affairs, how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amwon region developed into a national movement. A total of 126 people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amwon region in 1894. Among them, 66 people are found in "SunGyoYakRyeok(殉敎畧歷)" and 27 in “Cheondogyo Yimshil Gyosa(天道敎任實敎史)”. In addition, there are 15 participants under Kim Gae‐nam, and 12 participants related to the Namwon fortress battle. The number of articipant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o participated in the 3·1 Movement in 1919 was officially one person, Ryu Tae‐hong(柳泰洪). However, considering his symbolism, who were active since the beginn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fact that he led the Namwon Region 3·1 Movement means th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soon turned into a national movement. In addition, it is worth noting that Mun Gyeong‐rok(文璟錄) and Lim Ryang‐sun(林良淳) appearing in “SunGyoYakRyeok(殉敎畧歷)” were also registered as Independence Movement Patriots of National Merit by participation in the 3·1 Move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vestigate Lee Gi‐dong(李起東) and Kim Jong‐ung(金鍾雄), who are sure to have participated in the 3·1 Movement as participant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egister as Independence Movement Patriots of National Merit. From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ich took place in Namwon region in 1894, was handed down to the 3·1 Movement in 1919. It is said that the succ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to the national movement was confirmed.

한국어

남원 지역은 동학농민군 지도자 金開南이 웅거했던 곳이기 때문에 일찍부터 동학농민혁명 연구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따라서 남원 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에 대해서는 이루어질 수 있는 대부분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게다가 동학농민혁명 이후 남원 출신 동학교도의 활동 또한 南原郡宗理院에서 1924년에 펴낸 『殉敎畧歷』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것은 국무총리 소속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를 기준으로 한 혁명 이후의 활동에 대한 추적이 미진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를 중심으로 국가보훈처에서 또한 공식적으로 선정한 독립유공자를 대조하여 남원 지역 동학농민혁명이 이후 민족운동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894년 남원 지역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는 모두 126명이다. 이 중 『殉敎畧歷』등에서 66명이, 『天道敎任實敎史』에서 27명이 발견된다. 그밖에 김개남 휘하의 참여자가 15명, 남원성 전투와 관련한 참여자가 12명 등이다.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는 공식적으로 柳泰洪 1명이다. 다만 동학농민혁명 초기부터 활동하였던 그의 상징성을 생각해 볼 때 그가 남원 지역 3·1운동을 주도한 점은 동학농민혁명이 곧 민족운동으로 전화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殉敎畧歷』에 나오는 文璟錄과 林良淳도 3·1운동 참여로 독립유공자로 등록된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로서 3·1운동에 참여한 것이 확실한 李起東, 金鍾雄을 추가적으로 조사하여 독립유공자로 등록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이 본다면 1894년 남원 지역에서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은 1919년 3·1운동으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왔음을 알 수 있다. 동학농민혁명의 민족운동으로의 계승이 확인되는 것이다.

목차

I. 머리말
Ⅱ. 남원 지역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와 南原郡宗理院 기록
Ⅲ. 남원 지역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민족운동 참여
Ⅳ.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유바다 Yoo, Ba-Da.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