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유재란기 왜교성전투의 실상과 성격

원문정보

The Reality and Nature of Battle of Waegyoseong during Jeongyu War

하태규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60호 2020.11 pp.213-24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aegyoseong was built by Konishi Yukinaga to serve as a base of the Japanese forces to rule Jeolla Province after their occupation of the province. As Konishi Yukinaga began to build the fortress by moving south of Suncheon, the Japanese forces refrained from cruel massacre operations and converted into a strategy of conciliating, winning over, and ruling local residents. It did not take long, however, before the war situation changed. The Japanese forces were pushed down to the southern parts of Jeolla Province, and Waegyoseong became a base for Konishi Yukinaga to resist the combined Joseon-Ming military force. After the first siege of Ulsan, in particular, the war situation turned unfavorable to the Japanese forces, who had to withdraw their major troops. The generals remaining in the Waeseongs of Ulsan, Sacheon, and Suncheon were ordered to stick to their respective fortresses by Toyotomi Hideyoshi. The Battle of Waegyoseong was a siege warfare that began as part of the four-route parallel attack planned by the combined Joseon-Ming military force long ago. Toyotomi died in August, 1598, but the news and the withdrawal order of troops did not reach the Japanese generals remaining in Joseon until the Battle of Waegyoseong was ended. Konishi Yukinaga under the attack of the combined Joseon-Ming military force was not allowed to withdraw from Waegyoseong and had to put up a defensive fight according to Toyotomi's order to guard his fortress. The Battle of Waegyoseong was thus not to prevent Konishi Yukinaga from withdrawing his troops. The combined Joseon-Ming military force started to prepare for the operation before March, 1598 and began their attack at Waegyoseong on September 20. It was the largest battle during Jeongyu War as 52,000 of combined Joseon-Ming army and naval forces had a violent collision against 13,700 of Japanese forces. It was an important battle in which the upper-level command of Ming and Joseon took direct part. Despite their predominant troops, however, the combined Joseon-Ming military force lost the battle with no fruit on October 7 due to the passive fight and evasion of Liu Ting, the Dodok of Seoro troops. Right after the Battle of Waegyoseong ended, the death news of Toyotomi and the withdrawal order of troops were delivered to Konishi Yukinaga, who attempted to withdraw his troops from Waegyoseong. About a month later on November 18, 1598, the Sea Battle of Noryang developed to block his attemp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Battle of Waegyoseong had different nature from the Sea Battle of Noryang and raise a need to be careful not to understand the battles along a continuous line.

한국어

왜교성은 일본군이 전라도를 점령한 뒤 일본군의 전라도 지배의 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니시 유키나가에 의하여 축성되었다. 고니시 유키나가가 순천으로 남하하여 축성을 시작하면서 일본군은 잔악한 도륙작전을 지양하고 주민을 회유 포섭하여 지배하는 전략으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얼마 되지 않아 전황의 변동에 따라 일본군이 전라도 남부지방으로 밀리게 되면서 왜교성은 고니시 유키나가가 조명연합군에게 저항하는 근거지가 되었다. 특히, 제1차 울산성전투 이후 불리해진 전황에 따라 일본군의 주요 병력이 철수하고, 울산, 사천, 순천의 왜성에 잔류하고 있던 장수들만은 도요토미 히데요시 명령에 따라 각자의 성을 고수하여야만 하였다. 왜교성전투는 오래전부터 계획된 조명연합군의 4로 병진공격의 일환으로 시작된 공성전이었다. 비록 1598년 8월 도요토미가 사망하였지만, 그 사망 소식과 철군명령은 왜교성 전투가 끝날 때가지 조선에 잔류하고 있던 일본군 장수들에게 전달되지 않았다. 따라서 연합군의 공격을 받는 고니시 유키나가는 왜교성에서 철수할 수 없었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수성명령에 따라 방어전을 전개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왜교성전투는 고니시 유키나가의 철수를 막기 위한 전투가 아니었다. 조명연합군은 1598년 3월 이전부터 준비하여 그해 9월 20일부터 왜교성을 공격하기 시작되었다. 이 전투는 조·명의 육군과 수군 조명연합군 5만 2천 명과 일본군 1만 3천 7백 명이 격돌한 정유재란사상 최대의 전투였다. 또한, 이 전투는 명과 조선의 상층 지휘부가 직접 참여한 비중 있는 전투였다. 하지만, 이 전투는 조명 연합군의 우세한 병력에도 불구하고, 서로군 도독 유정의 소극적 전투와 기피로 인하여 10월 7일 성과없이 조명연합군의 패배로 끝나고 말았다. 왜교성 전투가 끝난 직후 고니시 유키나가에게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 소식과 철군 명령이 전달되었다. 이에 따라 고니시 유키나가의 왜교성 철수를 위한 노력이 시도되었고, 그 뒤 한 달 남짓 뒤인 1598년 11월 18일에 이를 봉쇄하기 위한 노량해전이 전개되었다. 따라서 왜교성전투와 노량해전은 그 성격이 다른 전투이며, 이 두 전투를 연속선상에서 이해하는 것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일본군의 왜교성 축성과 전략 변동
1. 일본군의 왜교성 축성과 전라도 지배전략
2. 전황의 변동과 일본군의 왜교성 수성전략
Ⅲ. 조명 연합군의 왜교성 공격과 전투 양상
1. 조명 연합군의 4로 병진작전의 전개
2. 왜교성전투의 실상과 성격
Ⅳ.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하태규 Ha, Tae-Kyu.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