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역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부산항 - 부산 연구를 위한 이론적 시탐(試探)

원문정보

Busan Port from the perspective of sea area network - Theoretical examination for the study of Busan Port

서광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looked into the direction of the Busan Port research by borrow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a area city that opened port in Northeast Asian Sea Region and the network between the cities, that is, sea area network. Since the Joseon Dynasty, Busan has provided a space called '倭館' for Japanese trade.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Waegwan (Waegwan) was transformed into a Japanese land and remained until before liberation. As su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twork, Busan is historically closely related to Japan. This is an important factor in identifying Busan Studies or Busan personality. However, since modern times, Chinese and Westerners have also visited and resided in Busan Port, in addition to the Japanese. Although the lack of data has not activated the relevant research, this is a clear fact. The achievements of Asian researchers such as Ryota Ishikawa disprove this. The activities of a Chinese merchant in North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of a settlement of the Qing Dynasty in Busan are typical exampl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san served as the entrance to Japan's continental advance. It was a crowded place where people came by Busan Shimonoseki Ferry and tried to head for Manchuria. Busan Station, built near the port of Busan, was built earlier to transport them to Manchuria. During this period, Busan was actively used as a port for Japan's advancement into the continent along with Najin(羅津) and Cheongjin(淸津). As the function of Busan Port and the occupations of residents were defined by Japan, Busan Port seems to be out of the existing open port network, but it still functions as a physical network and as a mediated port of human network of human movement. After liberation and through the Korean War, Busan became a city of refugees in its traditional form, namely the colonial legacy that Japan left behind. On top of the traces left by the Japanese, fault lines due to the devastation of the war were piled up, and the birth of the marine industry began with modernization. The history of Busan Port was examined in terms of network, movement, and space.

한국어

이 글은 동북아해역에서 개항을 맞이한 해역도시와 그 도시간의 네트워크 즉 해역네 트워크의 관점을 빌려 부산항 연구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시대부터 부산은 일 본인들의 무역을 위해 ‘倭館’이라는 공간을 제공했다. 1876년 개항이후 ‘왜관’은 일본인 의 專管居留地로 변모하여, 해방이전까지 존속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본 다면 부산은 역사적으로 일본과 밀접한 연관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釜山學 또 는 釜山性(로컬리티)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요소다. 그렇지만 근대 이후 부산항에는 일본 인들 외에도 중국인과 서양인들 역시 방문하거나 거주하기도 했다. 자료의 부족으로 관 련 연구가 활성화되지는 못했지만, 이는 분명한 사실이다. 이시카와 료타(石川亮太) 등 의 아시아交易圈論 연구자들의 성과는 이를 반증한다. 동북아해역내 華商의 활동과 부 산 淸國租界의 성립은 대표적인 예다. 일제 강점기 부산은 일본의 대륙 진출을 위한 입 구로서 기능했다. 釜關連絡船을 타고 와서 만주를 향해 가려는 사람들이 붐비는 곳이었 다. 부산항 인근에 건설된 부산역은 바로 이들을 만주로 실어 나르기 위해 일찍이 건설되 었던 것이다. 이 시기 부산은 羅津, 淸津과 함께 일본의 대륙진출을 위한 항구로 적극 활 용되었다. 이렇게 일본에 의해 부산항의 기능 그리고 거주인들의 직업 등이 규정받으면 서 부산항은 종래의 개항장 네트워크에서 벗어나 있는 것 같지만, 부산을 통한 물동량을 본다면 여전히 물적 네트워크 그리고 인간의 이동이라는 인적 네트워크의 매개적인 항 구로서 기능해왔다. 해방이후 그리고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부산은 종래의 모습에 즉 일본이 남기고 간 식민지 유산에 피난민의 도시라는 성격을 갖게 되었다. 일본인이 남기고 간 흔적 위에 전쟁의 참화로 인한 단층이 쌓이고 여기에 근대화에 따른 해양산업의 탄생 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부산항의 역사를 네트워크, 이동, 공간이라는 관점에서 살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1. 동북아해역과 네트워크
2. 동북아해역과 이동
3. 동북아해역과 공간
Ⅲ.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광덕 Seo Kwangde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