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시컨벤션센터의 기능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Function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on the Effectiveness

오성환, 한진오, 정득, 이종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function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on the effectiveness. The main key of this study is that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positively affects various effects through the role of public function to local communities and local residents as a public facility.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040 people who had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the event held at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As a result of this study, conventional, tourism economical, and social functions, which are the core functions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showed a positive effect on effectiveness. And when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public function with the core functions, the residents support vari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effectiveness and tourism industrial effectiveness, while cultural life variable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ocultural effectiveness. This means that the importance of public function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is a major factor that positively affects effectiveness, and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should be a platform for the local community that provides education, welfare, start-up, and cultural sports as public facil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전시컨벤션센터의 기능
2. 전시컨벤션센터의 효과성
Ⅲ. 연구설계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2. 연구변수의 조작적 정의
3. 분석방법
4. 연구문제와 연구모델
Ⅳ. 성과분석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연구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3. 전시컨벤션센터의 기능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성환 Sunghawn Oh. 한림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한진오 Jinoh Han. 한림대학교 경영학과 박사
  • 정득 Deuk Jung.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객원교수, 창솔교회 목사
  • 이종석 Jongseok Lee.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강원도(2019). 『강원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강원도.
  • 2강해상(2005). “전시, 컨벤션, 이벤트의 복합화 전략”. 『KINTEX 개장기념국제학술세미나』. pp.71-83.
  • 3구성혜(2012). “전시컨벤션센터 참가자가 인지하는 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연구: 부산 BEXCO 의료학술대회 내국인, 외국인 참가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 4김봉석(2005). “독일의 무역전시 산업정책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30(4). pp.5-27.
  • 5김봉석(2008). “국내 전시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호텔관광연구』. 10(1). pp.30-43.
  • 6김시중·이원옥(2013). “컨벤션센터 식음료업장의 서비스품질이 참가자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거주지와 직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17(4). pp.81-97.
  • 7MICE 산업 활성화 전략네이버 원문 이동
  • 8MICE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네이버 원문 이동
  • 9남유신·김유경(2012). “호텔컨벤션의 물리적 환경, 고객의 감정반응·인지반응 그리고 만족과의 관계: 대전지역 호텔컨벤션 고객을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37. pp.351-375.
  • 10대구광역시(2017). 『엑스코 제2전시장 건립 기본계획 연구 용역 』. 대구광역시.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