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맹자』 王道政治의 이념과 실현 방안

원문정보

『맹자』 왕도정치의 이념과 실현 방안

유영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eng-zi sought to relieve the turmoil of the Period of Warring States by resorting to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is Ineuyeji. In other words,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stands itself on a fundamental idea that the monarch exerts political authority by turning to virtue itself. By the way, 『Men-zi』, a Chinese ancient literature on Meng-zi’s thoughts, describes practices needed to realize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as well as the fundamental idea as mentioned above. Those practices largely focus on the issues of economy, education and role division. First, Meng-zi regarded the nine-square field system or Jeongjeonje as the most essential for realization of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Also, he strongly insisted that both commercial business and transit duties should be abolished. Second, the ancient literature suggests Meng-zi’s theory of duty that discriminates noble men(statesmen) from non-noble ones(peasants) and, accordingly, that peasants have the duty of paying taxes with the outcome of harvest and statesmen have the duty of keeping their livelihood by means of the taxes and, in return, governing the non-nobles and establishing social order. And third, Meng-zi noted that once people become free from problems with food and clothing, they need to be educated. In association, Meng-zi said that prerequisites for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are teaching the Five Principles of Ethics like in the times of Yao and Shun’s reign, and opening schools and educating the Morals of Humanity there like in the period of the three dynasties.

한국어

以德行仁의 왕도정치는 仁義禮智의 德에서 출발한다. 여기서 ‘德’은 ‘군주의 덕’이고 ‘仁’은 ’仁政‘을 뜻한다. 왕도정치는 군주의 덕을 가장 우선시한다. 二帝三王은 왕도정치의 역사적 典範이지만, 맹자는 특히 湯武를 王政의 상징으로 거론하였다. 이는 왕도정치의 이념에 혁명성이 내재되었음을 뜻하는데, 혁명은 天命不常의 대전제 위에서 그 정당성이 확보된다. 한편, 『맹자』에는 왕도정치의 구체적인 실현 방안도 들어 있다. 그것은 恒産을 마련할 경제 제도, 사회적 직분론, 인륜교육으로 요약된다. 맹자는 井田制를 王政 구현의 가장 절실한 제도로 여겼다. 耕者[小人]가 公田을 일구면, 仕者[大人]는 그것을 祿으로 먹고 耕者를 다스린다. 맹자는 이렇게 정전제를 중심으로 士와 農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되, 大·小人의 職分論으로 兩者를 구별하였다. 경제 제도로서의 정전제는 곧 사회적 직분론과도 직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 맹자는 상업 발달의 이익이 백성에게 돌아가지 않기에 關市의 세금 폐지도 강력히 주장했다. 關市의 세금 문제는 맹자가 士農工商 중 工商의 恒産에도 유념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衣食이 해결되면 가르쳐야 한다. 唐虞의 司徒는 백성에게 五倫을 가르쳤고, 三代는 학교를 설립해 人倫을 밝혔다. 맹자는 인륜교육의 보편화를 王政의 완성으로 여겼는데, 이는 의식이 해결되어야 가능하다. 곧 정전제-恒産, 인륜교육-恒心의 공식이다. 정전제는 戰國은 물론 그 이후에도 구현된 적이 없고, 殷周에 실재했는지도 불분명하다. 하지만 맹자가 제시한 王政의 구체적 조목까지 공허한 이념적 모형으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 맹자는 그것이 실재했고 전국시대에도 실현 가능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왕도정치의 근본이념
3. 왕도정치의 구체적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영옥 Yu, Young-Og. 동아대학교 기초교양대학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