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박종홍의 「퇴계의 교육사상」(1928)에 대한 비판적 검토

원문정보

A Critical Review on Park Jong-Hong’s "Educational Thought of Toegye"(1928)

박균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928, Park Jong-Hong skipped the research stage on Toegye's philosophy and immediately published his research results on Toegye's educational thought. Park Jong-Hong's Toegye Study, who worked as a teacher at Daegu Higher Common School after serving as a teacher at Boseong Common School an181d Daegu Suchang Common School, had a deep layer of research and its speciality. Park Jong-Hong's study of educational thought was baptized by the theory of teacher education in modern Japanese pedagogy, which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the research system of educational thought based on the purpose and method of education. Park Jong-Hong's study of educational thought through the analysis of Toegye’s Text earned a special academic status at that time. However, Park Jong-Hong, who experienced the reality of colonial education more than anyone else while working as a teacher at Daegu Higher Common School, did not mention the reality of colonial education nor any political and social repercussions derived from colonial power. It can be said that Park Jong-Hong's study on Toegye was conduct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of the epistemological violence and the ethical despotism by colonial power. This means that Park Jong-Hong served silently in colonial education, which created a system-conforming people at that time. When we can check Park Jong-Hong's Toegye study precisely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above problems, we can read accurately about the nature of Toegyehak.

한국어

1928년, 박종홍은 퇴계의 철학에 대한 연구 단계를 건너뛰고 곧바로 퇴계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보성보통학교와 대구수창보통학교 교사를 거쳐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교사로 근무했던 당시 박종홍의 퇴계 연구는 연구의 심층과 그 특별함을 갖춘 것이었다. 박종홍의 교육사상 연구는 근대 일본교육학의 사범교육론의 세례를 받은 것이며, 이는 교육목적과 교육방법을 두 축으로 삼은 교육사상 연구체제를 통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박종홍의 퇴계문집 분석을 통한 교육사상 연구는 당시로서는 각별한 학술적 위상을 확보한 것이었다. 하지만, 대구고보 교사로 근무하면서 식민교육의 현실을 누구보다도 직접 체험했던 박종홍은 식민지 교육현실에 대해, 그리고 식민권력에 의해 파생되는 정치사회적 파동에 대해 일체 언급하지 않았다. 박종홍의 퇴계 연구는 식민권력에 의한 인식론적 폭력과 윤리적 폭정의 작동 범주 안에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박종홍이 당시 체제순응적 신민을 만들어내는 식민교육에 묵묵히 복무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문제에 유의하면서 박종홍의 퇴계 연구를 정밀하게 점검할 수 있을 때에 우리는 퇴계학의 본연에 대해 정확히 판독할 수 있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박종홍의 퇴계의 교육목적론 기술 비판
3. 박종홍의 퇴계의 교육방법론 기술 비판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균섭 Park, Kyoon-Seop.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