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자와 맹자의 이상정치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Ideal Politics of Lao-tzu and Mencius

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tries to analyze, in an ideal society of Lao-tzu and Mencius, difference of meanings that political interests between a monarch and min (民, people) have, comparing Mencius’s benevolent politics (仁政, 王道政治) and Lao-tzu’s ultimate politics, which are involved with political logic of wimin (爲民, people-oriented politics). Political awareness of Lao-tzu and Mencius reflects their willingness to overcom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f the times. In this perspective, they both criticize monarch’s political actions based on his dominant power. And such criticism develops into political logic of the monarch for the ideal society. However, Lao-tzu and Mencius take different stances on methods and details about how to realize the ideal society. For Mencius, the ideal society is “enjoying together with people (與民同樂)”, and it is realized by strengthening the King’s ethics. His ideal society politicizes a class hierarchy system where the enlightened monarch reforms people, though. But Lao-tzu otherwise emphasizes the ideal society freedom that people as social entities retain, which is represented as a small country with few citizens (小國寡民). In this view, he denies political involvement of extrinsic values in undermining people’s own life. Both Lao-tzu and Mencius deprecate the monarch’ political actions pursuing political power over ruling the country. Viewed from this, they lay great emphasis on eliminating the desire for power. However, Mencius partly concedes that purposeful political-actions by the monarch are required to realize benevolent politics. This holds difference with Lao-tzu’s idea, eliminating the desire for power through political actions without intention.

한국어

본 논문은 노자와 맹자의 이상사회 속에 담지 되어 있는 군주와 민에 대한 정치적 인 이해의 관계성이 갖는 의미의 차이를 위민(爲民)의 정치논리를 중심으로 전개된 맹자 인정(仁政)의 왕도정치(王道政治)와 노자 성현의 지극한 정치(至治)에 대한 비 교를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자와 맹자의 정치의식에는 그들이 목도한 시대의 모순과 한계에 대한 극복의 의 지가 노정되어 있다. 이 점에서 노자와 맹자는 모두 힘의 논리에 토대한 군주의 패권 적 정치행위를 비판한다. 그리고 이것은 인간 본연의 성(性)에 대한 담론을 기반으 로 이상적인 인간 사회의 모습에 대한 군주의 정치논리로 발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사회의 실현을 위한 방법과 내용의 측면에서 노자와 맹자 는 다른 입장을 갖는다. 즉, 맹자에게 있어 “왕과 백성이 함께 즐거움을 나누는(與民 同樂)” 이상사회는 군주의 윤리의식 강화를 통해 진행된다. 하지만 그 속에는 계몽 된 군주에 의한 민의 교화라는 차별적 신분의 계층성이 정치화 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소국과민(小國寡民)으로 대변되는 노자의 이상사회는 사회적 개 체로서 민의 삶이 갖는 자유에 대한 인식을 강조한다. 이 점에서 노자는 사회적 개 체의 고유한 삶을 저해하는 외재적 가치들로, 정치적인 목적성이 강화된 위정자의 인위적 행위들에 대한 간섭을 부정한다. 이와 같이 노자와 맹자는 모두 통치를 목적으로 하는 치자의 정치의식에 반대한 다. 이 점에서 정치적인 목적성을 갖는 치자의 욕망 소거(권력에 대한 욕망 소거)는 노자와 맹자 모두에게서 강조된다. 하지만, 맹자는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실현함에 있어 민에 대한 치자의 정치인 목적성을 교화의 논리를 통해 부분 허용하는 입장이 다. 그리고 이것은 치자의 정치적인 유목적성이 갖는 인위성을 무위(無爲)의 정치 의식을 통해 극소화한 노자의 욕망 소거(寡欲)와 다른 차이를 갖는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맹자의 성선과 왕도정치
3. 왕도정치와 성현지치의 도
4. 과욕과 항심의 정치적 이상화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 Kim, Hee. 인제대학교 인문문화융합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