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어』의 ‘습(習)’자 해석 일고(一考)

원문정보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Letter Xi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한상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earning with a constant perseverance and application (學而時習)’ is the topic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one of the core ideas of Confucianism.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letter ‘Xue (學, learning)’ appears 65 times. Therefore, the interpretations and opinions of scholars based on abundant data appear diversely. On the other hand, the letter ‘Xi (習, practicing)’ appears only three times, but descriptive content about it is found throughout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Xi’ that Confucius intended to say by examining the descriptive content about ‘Xi’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Xi’ means the act of repeatedly flapping its wings in order for a young bird to fly. It refers to the process of self-improvement (習) after (而) learning (學) the wing strokes of a mother bird, but fundamentally, it means that a young bird must make practical efforts on its own in order to fly. Breaking away from the fixed path on the earth and jumping towards the path boundlessly broadened out in the sky implies a transition from imitation to creation. This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when you understand and practice the method and purpose of ‘Xi’. Yiyupurun (一雨普潤), the rain wets everything evenly. There is no discrimination. However, even if plants and trees get wet in the same rain, the result of growth is different. The same goes for people and animals. It means that the result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which each person is faced and the attitude they are dealing with. In this paper, I indicated ‘WenSi (問思, inquiring with earnestness and reflecting with self-application)’ and ‘FenFei (憤悱, being eager to get knowledge and anxious to explain oneself)' as the means of practicing ‘Xi’ and ‘ZhiXin (知新, acquiring new)’ and ‘YueLi (約禮, keeping oneself under the restraint of the rule of propriety)’ as the purpose of practicing ‘Xi’, and then I investigated the relation.

한국어

‘학이시습(學而時習)’은 『논어』의 화두이자 유학의 핵심사상 중 하나이다. 『논어』 에는 ‘학(學)’자가 65차례 나온다. 이렇듯 풍부한 자료에 근거한 학자들의 해석과 견 해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반면에 ‘습(習)’자는 3차례 나올 뿐이지만 이에 관한 서술 적 내용이 『논어』 도처에서 발견된다. 본고에서는 『논어』를 텍스트로 공자가 말하 고자 했던 '습'의 함의(含意)를 『논어』와 〈주자주(朱子註)〉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습'이란 어린 새가 날기 위해 반복해서 날갯짓을 하는 행위이다. 어미 새의 날갯짓 을 배운[學] 후, 스스로 노력하는 과정[習]을 말하지만, 근본적인 것은 어린 새가 비 상(飛上)하기 위해 자기 스스로 실천적인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는 점이다. 땅 위의 정해진 길을 벗어나 무한히 펼쳐진 하늘의 길로 도약한다는 것은 모방에서 창조로 의 전환을 암시한다. 이는 '습'의 방법과 목적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때 그 효과를 기 대할 수 있다. 일우보윤(一雨普潤), 비는 만물을 고르게 적신다. 아무런 차별이 없다. 하지만 초 목은 같은 비에 젖고도 생장의 결과는 달라진다. 사람이나 동물도 마찬가지이다. 각 자 처한 상황과 매사에 임하는 자세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습'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문사(問思)와 분비(憤悱), 그리고 목적으로 지신(知新)과 약례(約禮)를 위주로 하여 '습'이 지향해야 할 바를 고찰하고, 배움과 실천이 둘이 아닌 하나로 일이관지(一以貫之)하고 있음을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습(習)'의 개념
3. ‘습(習)’의 방법
1) 학이문사(學而問思)
2) 학이분비(學而憤悱)
4. ‘습(習)’의 목적
1) 학이지신(學而知新)
2) 학이약례(學而約禮)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상일 Han, Sang-Il. 경기대학교 동아시아예술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