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후담 역(易) 해석의 통합적 방법론 - 「문언전(文言傳)」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Integrated Methodology of Sin Hu-Dam’s Zhouyi Interpretation : Focused on Wenyan-zhuan

이창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 Hu-Dam (愼後聃) pursued a balanced method of images (象) and statements (辭) to interpret Zhouyi (『周易』). He thought that Zhouyi could not be interpreted without an understanding of images because the statements in Zhouyi were formed by borrowing images. With this perception, the methodology of moral philosophical interpretations on Zhouyi (義理易學) was applied more thoroughly to complement and inherit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Cheng-zhu’s Yi Learning (程朱易學), and the yaobai (爻變) as a methodology of symbol-numerological interpretation on Zhouyi (象數易學) was actively applied to explore the images in depth. Wenyan-zhuan (「文言傳」) consists of sentences relatively focused on statements rather than images, but this also has been interpreted in a balanced manner between images and statements by appropriately utilizing the neighborhood and respondence (比應) and the yaobai. This shows that the position of Shin Hu-dam, which emphasizes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images and the statements for interpreting Zhouyi, is applied with consistency. The historical status of Shin Hu-dam’s Yi Learning thoughts can be established by focusing on the aspects of integrating the methodology of yaobai with the existing Yi Learning. Through a thorough study of ancient Confucian scriptures, the yaobai was discovered and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Zhouyi based on the integrated method of images and statements. In a broad sense, it is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moral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and the symbol-numerological interpretation on Zhouyi.

한국어

이 논문의 목적은 신후담(愼後聃)의 『주역(周易)』 해석 방법론의 통합적 성격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역학 사상사적 위상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신후담은 역(易)을 해석하기 위해 상(象)과 사(辭)의 균형잡힌 방법을 추구했다. 그는 역의 사(문장)들 은 상을 빌어서 구성된 것이므로 상에 대한 이해가 없이 역은 해석될 수 없다고 생각 했다. 이런 인식을 가지고, 기존 정주(程朱)역학의 해석을 보완하고 계승하기 위해 의리(義理)역학적 방법론을 더욱 철저하게 적용하였고, 상을 심도 있게 탐구하기 위 해 상수(象數)역학적 방법론인 효변(爻變)을 적극 활용하였다. 64괘를 대표하는 건곤(乾坤) 두 괘에 대한 심층적 해석이 담긴 「문언전(文言傳)」 은 상대적으로 상보다는 사에 중점을 두고 있는 문장이지만, 신후담은 이 역시도 응 비(應比)와 효변을 적절히 활용하여 상과 사의 균형을 맞추어 해석하였다. 이는 역 해석을 위해 상과 사의 통합적 이해 방식을 강조한 신후담의 입장이 일관성을 가지 고 적용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후담의 역학 사상사적 위상은 효변의 방법론을 기존 역학과 통합하여 활용한 측 면에 중점을 두어 자리매김할 수 있다. 신후담은 성호학파의 일반적인 학풍인 고경 (古經)에 대한 투철한 연구를 계승하여, 고경 속에서 효변의 본래적 쓰임을 발견하 였고, 이를 상과 사의 통합적 방식에 입각한 역 해석에 적극 활용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의 활용은 넓은 의미에서 의리역학과 상수역학의 통합적 이해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역 해석의 입장과 주요 방법론
1) 상과 역사(易詞)의 연관성 강조
2) 효변론과 응비론
3. 「문언전」 해석의 특징
1) 「문언전」의 인식과 원형이정(元亨利貞)의 해석
2) 효변론과 응비론의 방법론 적용
3) 수양론의 근거에 대한 주석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창일 Lee, Chang-Il.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