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의 효과를 고려한 기후변화 소통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Coming up with Climate Change Communication Strategies Considering the Effect of Public Engagement

정현주, 유영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knowledge level that public has about the causes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is improving and their perception about severity of climate change is also getting high. The actual behavioral participation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 however, is still low. Therefore,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goal of climate change communication should be from ‘understanding about climate change’ to ‘climate change public engagement’,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measure the climage change public engagement and investigate its impact based on PEP/IS Model. For this, the survey on the subject of 1,602 respondents was conducted through the website of Korea Meteorological Admistation.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climage change knowled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est i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public engagement, and practical behiavor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 showing that public engagemen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actical behavior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 Furthermore, climate change public engagement proved to take a mediating role between climate change knowledge and the practical behavior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한국어

기후변화의 원인과 효과에 대한 공중들의 지식수준은 향상되고, 이에 따라 기후변화 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으나,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사람들의 실제적 행 동유발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소통의 목적이 ‘기후변 화에 대한 공중들의 이해’로부터 ‘기후변화 퍼블릭 인게이지먼트’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김학수가 제시한 PEP/IS 모델을 토대로 퍼블릭 인게이지먼트를 측 정함은 물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상청 홈페이지를 통해 1,602명 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은 기후 변화 관심도, 기후변화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그리고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실천행동 등에 유의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역시 기후변화 완화 를 위한 실천행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퍼블릭 인게이지먼트 는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과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실천 행동 의도 사이에 매개적 역할 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문헌연구
1) 기후변화 커뮤니케이션 (CCC: Climate Change Communication)
2) 기후변화와 퍼블릭 인게이지먼트_PEP/IS Model
3) 과학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주요 변인: 지식, 관심, 태도
3. 연구방법
1) 조사절차
2) 주요 변인의 측정
3) 분석방법
4. 연구결과
1) 연구가설에 대함 검정
2)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
6. 논의 및 함의점
7.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현주 HyeonJu Jeong. 가톨릭관동대 광고홍보학과 조교수
  • 유영석 Young Suk, Yoo. 레인보우커뮤니케이션 대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