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블록체인 트랜잭션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기록관리 적용 방안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Blockchain Transactions and Smart Contracts in Recordkeeping

왕호성, 문신혜, 한능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various recordkeeping methods through a platform built in 2019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n particular, it aims to develop a way to track and store transactions using blockchain and to design and present the method of records management automation using smart contracts. In this regard, a literature review, a system analysis of CAMS and MAM, interviews with the experts, designing, implement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s proof of concept were performed. These efforts resulted in the proposal of a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trategy utilizing blockchain, which guarantee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by preserving an audit trail on recordkeeping activities.

한국어

2019년 10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투명하고 신뢰도가 높은 사회의 구축을 위해 공공문서의 원본, 수정본 및 변경 이력을 추적하고, 무결성과 진본 증명을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한 공공문서 관리체계를 확립하여야 한다는 대정부 권고안을 발표하였다. 이후 기획재정부 등 정부는 공공분야의 블록체인 예산을 확대하여 공문서를 포함한 다양한 공공기록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다는 확산전략을 수립하였다. 국가기록원은 2019년 블록체인 기록관리 플랫폼을 구축하고 2020년 현재 이를 활용한 다양한 기록관리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 이 논문은 1년간 진행된 블록체인 기록관리 연구 결과 중 일부로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추적과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기록관리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 를 정리한 것이다. 블록체인 기록관리의 주요 개념, 다양한 연구 및 사례를 통해 기본이해를 공유하고, 기록관리에 적용 가능한 업무기능을 발굴하여 설계하고 검증한 여러 모형을 제시하였다. 전통적 기록관리 방식을 대체하는 지능형 기술들이 공공업무의 투명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장 가능하다는 인식은 기록관리 전문가들에겐 위기이자 기회일 수 있다. 이 연구가 기록관리의 미래를 대비한 제도개선과 연구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선행연구
1.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주요 개념 및 사례
2.1 주요 개념
2.2 주요 사례
3. 블록체인 적용 기록관리 연구
3.1 블록체인을 적용한 기록물 열람서비스 개선 연구
3.2 시청각기록의 진본성을 위한 방안
3.3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기록관리 법정업무 자동화 연구
3.4 기록관리 트랜잭션 추적과 모니터링 방안 연구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왕호성 Hosung Wang. 국가기록원 기록연구사
  • 문신혜 Shinhye Moon. 국가기록원 인턴연구원
  • 한능우 Nungwoo Han. 국가기록원 디지털기록혁신과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