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반도 후기구석기시대 현생인류의 수렵도구 다양성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Diversity of Hunting Tools of Homo Sapiens in the Upper Paleolithic in Korea

이헌종, 박성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 far, periodic climate change such as D-O or HE which happened at the end of the pleistocene cannot be seen as the only reason for the migration of Homo sapiens to our country. However, such periodic climate change may have led to the migration of new groups connected to blade tool industry and microblade industry from northern China and the Amur River basin to Korean peninsula. In line with such periodic climate change, Homo sapiens seems to have influenced groups that used existing heavy weight tools by using various regions of Korea as home bases or living floor. A variety of reasons have been suggested to explain why it happened,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at least three migrations of modern humans across 40-30 ka appearing the blade tool industry, 25-20 ka featuring the microblade industry, and 20-15 ka, where bifacial flaking technique was common, occurred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climate change. In general,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human’s living activity and hunting strategies and tool typ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the Upper Paleolithic, the diversity of climate change influenced the hunting strategies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adapting the climate and resulted in the diversification of hunting tools. This diversity is the result of mutual supplementation and differenti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hunting tools in the process of modern humans adapting to the local environment. This phenomenon was widely appeared in hunting tools as it entered the end of the Upper Paleolithic. On the other hand, this diversification of hunting tools is associated with the migration mechanism of Homo sapiens and appears in the categories of technological systems of each period.

한국어

문화교류는 사람의 이동에 따른 문화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결국 문화의 전파나 확산은 인적이동과 연관성이 높다. 인적이동으로 인해 문화가 전파되면서 동일문화가 확대되고 점진적인 확산으로 기존 문화와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기도 한 다. 이러한 관점에서 후기구석기시대 우리나라에서 확인되는 돌날, 세형돌날과 같은 석기문화 역시 한반도로 유입되면서 이미 한반도에 자리한 집단들에 문화적 영향을 주 었을 가능성이 있다. 아직까지는 플라이스토세 말에 보이는 D-O 혹은 HE와 같은 주기 적인 기후변화가 우리나라에 새로운 현생인류가 유입된 유일한 근거로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이 같은 주기적인 기후변화는 돌날석기문화, 세형돌날문화와 관련된 새로운 집 단들이 중국 북부지역과 아무르강 유역 등지에서 유입되는 계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 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기후환경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돌날석기문화 (40-30ka), 세형돌날문화(25-20ka)가 유입되는 시기, 그리고 양면박리 기술이 보편화 되는 시기(20-15ka)에 돌날과 세형돌날문화를 갖고 있던 현생인류의 유입이 한반도로 촉진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생업활동은 환경에 따른 수렵전략과 도구유형 사이의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후기구석기시대 기후변화의 다양성은 그 기후 의 적응과정에서 나타난 수렵전략에 영향을 주었고 그에 따른 수렵도구의 다양화를 가 져왔다. 이 다양성은 현생인류가 지역적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각 수렵도구의 효 율성을 높여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며 분화된 결과물이다. 특히 후기구석기시대 최말기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현상은 수렵도구에 더욱 폭넓게 나타난다. 이러한 수렵도구의 다양화는 인류의 이주 메커니즘과 연관되어 있으며, 각 시기별 기술체계의 범주에서 나타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후기구석기시대 기후환경변화
1. 40-30ka
2. 25-20ka
3. 20-15ka
Ⅲ. 돌날석기문화 수렵도구의 등장
Ⅳ. 세형돌날문화 수렵도구의 확산
1. 25-20ka
2. 20-15ka
3. 15-10ka
V.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헌종 Lee, Heonjong. 목포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 박성권 Park, Sungkwen.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