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의료인을 위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CPR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on the Basic Life Support course for healthcare provider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유승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course for healthcare provider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on CPR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This study was a one group pre-post design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9 nursing students, July 11 to August 1, 2020 at a college in the J cit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paired t-test using SPSS 20.0. CPR program was significantly increasing CPR knowledge(t=-14.71 , p <.001), attitude(t=-7.33 , p <.001), and self-efficacy(t=-6.63, p <.001). Base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basic life support educ

한국어

본 연구는 의료인을 위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후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로 J시에 소재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 69명으로 2020년 7월 11일부터 2020년 8월 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 율,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t=-14.71 , p <.001), 태도(t=-7.33 , p <.001) 및 자기효능감(t=-6.63 , p <.001)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은 지속되어야 하며, 다양한 교육방법 및 지속효과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의 가설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방법
2.4 연구 도구
2.5 자료 수집
2.6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심폐소생술 교육 전·후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자기효능감 차이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유승희 Yu, Seung Hee. 전주비전대학교 간호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