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과 미래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 미래사회, 사회변동 단원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Futur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ed on Analysis of Units, ‘Future Society’ and ‘Social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

허수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future education plan in Social Studies which is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futur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nd understanding what the problems are. For this,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units of ‘Future Society’ and ‘Social Chan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competencies mainly consist of cognitive competencies. So, emotional competencies and literacies in various fields are not reflected enough. Second, the content factor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more reflected in textbooks than competency goals are weakening characteristics of future education. Third, integrative content subjects and task activities are not sufficient and the linkage with future competencies is not, either. According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subject competencies in Social Studies, supplementing emotional and aesthetic competencies and integrative literacy. Second, it needs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future society more actively than the present curriculum and textbooks do by extending the ranges of social change. Third,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integrity and contextuality of conte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science and society structurally. Fourth, it needs to practice consilient social studies classes by combining scientific technology and philosoph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미래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과 미래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미래사회’와 ‘사회변동’ 단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역량이 인지적 역량 중심으로 구성되어 정서역량과 다양한 영역의 문해력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다. 둘째, 성취기준 역량 요소보다 내용 요소의 교과서 반영률이 높 아 미래교육 특성이 약화된다. 셋째, 내용주제와 활동과제의 통합성, 미래역량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이상 의 결과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정서·심미적 역량과 통합적 문해력을 보완한 교 과역량 재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변동 범위를 확장시켜 미래사회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셋 째, 기술과학과 사회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내용의 통합성과 맥락성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과학 기술과 철학을 융합한 통섭적 사회과 수업을 실천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미래교육 현황 분석을 위한 논의: 4차 산업혁명과 미래역량
1.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특징
2.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미래 역량
3. 분석 대상 및 기준 설정
III. 사회과 미래교육의 현황
1. 역량목표 반영 양상 분석
2. 역량목표와 내용 연관성 및 학습내용과 방법 특성 분석1 - 중학교 ‘사회’
3. 역량목표와 내용 연관성 및 학습내용과 방법 특성 분석2 - 고등학교‘통합사회’
IV. 사회과 미래교육의 개선 방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과 교육
1. 사회과 목표 역량의 재구성: 통합적 문해력과 정서 역량 강화
2. 과학기술-사회변동-문제해결의 상호연관성 강화, 사회변동의 시 · 공간적 범위 확대
3. 과학기술과 철학을 융합한 통섭적 사회과 수업 실천: 기술에 가치심기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허수미 Heo, Su Mi. 한국교원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