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과학관 챗봇 도슨트 개발을 위한 구조화된 시나리오의 틀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Framework of Structural Scenarios for Chatbot Docent in Science Centers and Museums

김홍정, 이상원, 정석훈, 탁현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of structural scenarios for chatbot docent that supports visitors' activities in science centers and museums, and to suggest the application examples. For this study, the author adapted Focus Group Interview. As a result, the frameworks of scenario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Coll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CST) and Inquiry-Based Exhibition(IBE). These frameworks had dimensions of the primary and storytelling in common. Especially, framework of IBE scenario was added the usage dimens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between exhibits and visitors. This study could be basic materials for AI chatbot to support exhibition descriptions using the built data, and is expected to be help develop a more visitor-oriented scenarios of activitie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 관람객의 전시체험 활동을 지원하는 과학관 챗봇 도슨트를 위한 구조화된 시나리오의 틀을 개발하고 적용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초점집단 면답법(FGI)을 적용하였으며, 이들의 삼각 검증을 통해 과학관 챗봇 도슨트의 시나리오 틀을 구성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관 챗봇 시나리오 틀은 과학기술 수집자료용과 탐구기반 전시품용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들 과학관 챗봇 도슨트용 시나리오 틀은 크게 주 정보 차원과 스토리텔링 차원으로 구성하였고 특히, 탐구기반 전시품용 챗봇 도슨트 시나리오 틀은 과학 전시품의 동작 및 관람객의 조작을 고려하여 사용방법 차원을 추가하였다. 이 연구는 과학관이 이미 구축한 데이터를 기초로 인공지능 챗봇의 시나리오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관람객 중심의 전시해설 시나리오와 같은 체험활동 시나리 오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과학관 챗봇 도슨트의 전시해설 대상
2.2 초점집단 면답법(FGI)
3. 연구결과
3.1 챗봇 도슨트의 구조화된 시나리오 틀 2가지
3.2 챗봇 도슨트용 과학기술 수집자료의 시나리오 틀
3.3 챗봇 도슨트용 탐구기반 전시품의 사니리오 틀
4. 요약 및 고찰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홍정 Hong-Jeong Kim. 국립중앙과학관 과학유산보존과 연구사
  • 이상원 Sang-Won Rhee. 대구대학교 과학교육과 박사과정
  • 정석훈 Seok-Hoon Jeong. 국립중앙과학관 연구개발과 연구관
  • 탁현수 Hyun-Soo Tahk.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교육과 연구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