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Graphic Basic Design Course Based on Different Dimensions of Knowledge in a Flipped Classroom

원문정보

다양한 지식 차원에 기반한 도형 기초 다자인 과정 플립클라스룸으로 효율성 연구

Qin Cheng, Yonghwan Pa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s research objective is to test educational content with different dimensions of knowledge during a graphic basic design course, while also proposing teaching plans and opinions for courses in flipped classrooms as well as enhancing educational efficiency. It categorizes educational content of courses based on the dimensions of knowledge in the learning objectives of Bloom’s taxonomy. 120 students a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to respectively under go flipped classroom learning by using different dimensions of knowledge involved in course content. Course pretests and post tests are used to obtain and analyze experimental data. Among this knowledge, factual and conceptual knowledge obtained during extra curricular independent learning as well as programmed and meta-cognitive knowledge obtained during in-class learning from a flipped classroom can stimulate student’s learning initiative and also enhance learning efficiency.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and student feedback, this paper will propose targeted categorization methods for course content and also suggest educational strategies for these courses’ flipped classroom model.

한국어

본문의 연구목적은 디자인 교육의 도형 기초 다자인 과정에서 다양한 지식차원의 교육콘텐츠에 대한 플립러닝 수업모델의 효율성을 테스트하고, 도형 기초 다자인 과정을 대상으로 한 플립러닝 수업방안 및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교육효과를 높이는 데 있다.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학의 지식차원을 사용하여 도형 기초 다자인 과정의 교육내용을 분류 하고, 120명의 학생을 4개의 실험조로 나눈 다음, 다양한 지식차원과정 콘텐츠의 플립러닝 학습을 각각 진행하고, 수업 전에 실시한 테스트와 수업 이후 실시한 테스트를 통해 실험데이터를 얻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중 사실성과 개념성 지식 수업의 경우 자기주도적 학습, 절차성과 메타인지 부류의 지식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수업방식은 학습의 적극성을 유발하여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연구결과와 학생의 피드백을 근거로 도형 기초 다자인 과정 콘텐츠의 분류방법 및 도형 기초 다자인 과정 플립러닝모델에 대한 수업전략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요약
1. Introduction
2. Research Background
2.1 Graphic Basic Design Course in China
2.2 Bloom's taxonomy
3. Research Methodology
3.1 Performance Evaluation
3.2 Curriculum Satisfaction
3.3 Self-efficacy
4. Research Process
4.1 Data of Performance Evaluation
4.2 Data of Curriculum Satisfaction
4.3 Data of Self-Efficacy
5. Suggestions
6. Conclusion
6.1 Conclusion
6.2 Limitations
REFERENCES

저자정보

  • Qin Cheng 진쳉. Ph.D, Dept. of Experience Design,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 Yonghwan Pan 반영환. Professor, Dept. of Experience Design,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