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뷰티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 경험과 전공 만족도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An Effect Analysis of Impact of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Job Experience Had Been Done During Undergraduate on the First Job in Beauty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황해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s of undergraduate-work-experiences for beauty-major’s graduates. 168 samples were selected from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2012 ∼ 2017. As a result of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 job experience, job period, and number of experienced job type mattered. In case of having non-major job experience while studying, the opportunities of finding a job of one who has no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at of one had over a year work experience. While in case of having major job experience in the field of studying, one who has experience over 6 months and less than a year had higher chance in finding a job than that of one who had over a year work experience. I hope this promotes reviewing a systematic educational policy and helps to get a fundamental information on job-seeking behavior of beauty major graduate.

한국어

뷰티 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 경험과 전공 만족도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 GOMS) 6개년도 (2012∼2017년) 자료에서 뷰티 계열 취업자 168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및 통계분석은 Windows 기반 SPSS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독립성 검증과 로지 스틱 다중회귀 분석결과, 재학 중 일 경험 여부, 일 경험 기간, 일 경험 회수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불일치 일 경험이 있는 경우, 반면 전공 일치 일 경험이 있는 경우, 일 경험 기간이 1년 이상일 때 대비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학 중 일 경험에 대한 학점인정 제도의 교육 정책 지원과 뷰티 계열 졸업생의 취업 이행 행태를 파악하는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뷰티학과
2.2 전공 만족도
2.3 재학 중 일 경험
3. 연구 방법
3.1 연구의 설계
3.2 연구 가설
3.3 연구 도구 및 분석
4. 연구 결과
4.1 일반적 특성의 빈도분석
4.2 독립성 검증
4.3 영향도 분석
5.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황해정 Hae Jung Hwang. 이누리 평생교육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