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적응 병사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및 수용전념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CBT and ACT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Maladjusted Soldiers

조주성, 최재광, 강요한, 유한별, 송원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solve the problem of maladjustment of military personnel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12 session CBT and ACT program for military soldiers experiencing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as developed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program once a week for soldiers in the army units based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dult Self Report scale(ASR) was implemented for pre-post test and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ross-analysis, paired sample t-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re as follows: First, the preliminary homogeneity test between groups showed that the two groups had homogeneou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the pre-post test verification, both CBT and ACT group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problem behavior totals, internalizations, and externalizations.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examination of the CBT group and the ACT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involved in the maladjustment problem within the military unit, and compared the effectiveness between the two theories, and proposed the study of control groups and further studies on more diverse and diverse subjects that were not implemented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unit.

한국어

본 연구는 국군 장병들의 부적응 문제 해결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정서 및 행동문제를 경험하는 군 장병을 위한 12회기 CBT 및 ACT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충남권 소재 육군 부대 장병을 대상으로 CBT, ACT 각 2집단씩 주 1회 프로그램을 실시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 사전-사후 성인용 행동평가 척도(ASR)을 시행하였고,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대응t검증, 독립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나타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집단 간 사전 동질검사 결과 두 집단은 인구통계학적특성과 주요변인의 특성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전-사후 비교검증 결과 CBT집단과 ACT집단 모두 문제행동총점 및 내재화, 외현화의 변화가 유의하였다. 셋째, CBT집단과 ACT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군부대 내 부적응 문제에 개입한 점, 두 이론간의 효과성을 비교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연구를 위한 방법론 및 연구 대상 확대를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 및 절차
2.2. 프로그램 내용 및 실행
2.3 연구도구
2.4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2. 치료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차이비교
3.3. 치료집단 간의 효과 차이비교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조주성 Ju Sung Cho. 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강사
  • 최재광 Jaegwang Choi. 건양대학원 상담심리학과 박사과정
  • 강요한 Yohan Kang. 건양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석사졸업
  • 유한별 Han Byeol Yu. 건양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석사졸업
  • 송원영 Wonyoung Song. 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