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문화교육을 위한 정(情)의 이중가치체계에 관한 小考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ual Value System of Jeong(情)

김지안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31호 2020.06 pp.47-7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ong with entering Korea, foreigners encounter conflicts between their mother culture and Korean culture in their daily lives. Korea is a country with a strong collectivism called 'us', and we can feel that unfamiliar collectivism culture affects not only individual self-existence but also survival. Korea has a strong sense of empathy with the interest of other people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we', a community consciousness, and its representative collective emotion is 'Jeong(情)'. Jeong is not simply an emotion of personal qualities. It is a symbol representing the ideal humanity pursued by the members of our society as mutual exchange emotions formed by time and behavior style accordingly, and a symbol of trust and coexistence that supports our society. While Korean language-culture education emphasizes ‘Jeong(情)’ as positive role that our society should pursue in Korean language-culture education, it shows dualism in Korean culture as negative culture because of the lack of objectivity and rationality. Since the modern era,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have changed rapidly, the two norms tha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have coexisted in the same situation. This 'dual value system' can be seen to be formed in the confusion of polarized values. This paper may divide justice dual value system into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humanism and materialism', 'authoritarianism and egalitarianism', 'particularism and universalism', which ‘Jeong(情)’ may seem irrational in terms of justice and fairness in modern society, but can contribute to try to overcome the inhumanity and individualism of contemporary society and contribute to the interests of the whole community. In addition, we reviewed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the true value of Jeong(情) as a positive value to foreigners who should keep their self-respect and survive in a strange Korean culture.

한국어

외국인들은 한국 입국과 동시에 일상생활 곳곳에서 모문화와 한국문화 간 차이로 갈등을 겪게 된다. 한국은 ‘우리’라는 집단주의적 성격이 강한 나라로, 외국인에게는 낯 선 집단주의 문화가 개인의 자존은 물론 생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느낄 수 있다. 한국은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을 통해 타인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연대하고자 하는 정서 가 강한데, 그 대표적인 집단주의 정서가 바로 정(情)이다. 정은 단순히 개인 자질의 정 서가 아니다. 시간을 두고 형성된 상호 교류적 정서와 그에 따른 행동 양식으로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이 추구해온 이상적 인간성을 대표하는 가치관이자 우리 사회를 지탱해 주는 신뢰와 공존의 상징과도 같은 것이다. 현재 한국어문화교육에서 정이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하는 긍정적 역할로서의 가 치가 강조되고 있는 반면, 한국 사회에서는 객관성과 합리성이 떨어진다는 이유 등으로 정을 부정적인 문화로 인식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근대 이후 정치·경제·사 회가 급변하는 사회 흐름 속에서 동일한 상황에 성격을 달리하는 두 개의 규범이 공존 하게 되었기 때문인데, 이러한 ‘이중가치체계’는 양극화된 가치관의 혼란 속에서 형성되 었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정의 이중가치체계를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인본주의와 물질주의’, ‘권위 주의와 평등주의’, ‘특수주의와 보편주의’로 나눠 살펴 정이 현대사회에서 정의와 공평 이라는 관점에서 비합리적인 것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오히려 현대사회의 비인간성 과 개인주의를 극복하고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정의 진정한 의미를 다시 찾고자 하였다. 나아가 낯선 한국문화 속에서 자존과 생존을 지켜야 할 외국인에게 긍정적 가치관으로서 정(情)의 진정한 가치를 인식시킬 필요성을 재고 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한국의 정(情)의 개념과 특성
2.1. 정 관련 선행연구
2.2. 정의 개념과 특성
III. 한국사회 이중가치체계의 특성
3.1. 이중가치체계의 형성
3.2. 정의 이중가치체계
IV. 한국어교육을 위한 정(情) 문화교육 재고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지안 Kim, Ji-An.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