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he awareness programme applying FACS(Facial Action Coding System), which presents an objective criterion for facial muscle anatomy and muscle action, can be used as facial training to improve the actor's facial awareness ability. It is to prove and propose a new methodology of actor training. In this purpose, except for the speech part based on text utterance in the research scope, the body category of the training was limited to the face from head to neck so that the young actors could focus more on non-verbal face training.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me, the pre-and post-changes of two scales of body awareness among young actors were measured.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researcher observation logs, and self-reports were collected in order to closely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nges of the young actors. The colle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sed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package(IBM SPSS Statistics 22) and a qualitative analysis using NVivo 12 software. As a result, firstly, the self-awareness of one's own habits and other people's faces awakened the state of restraint and neutrality in facial expressions, and informed the importance of external expressions rather than staying in inner expressions.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licate control of facial muscles through self-awareness evoked emotional arousal, and non-facial expressiveness also belonged to the category of expressivenes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reveal that the younge actors improved their facial awareness ability and laid the foundation for facial training for actors after experiencing this programme.
한국어
본 연구는 얼굴 근육 해부학과 근육 행동의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FACS(Facial Action Coding System)를 적용한 자각화 프로그램이 연기자의 얼굴자각 능력 향상을 위한 얼굴훈련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밝히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연기자 훈련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 범위를 텍스트 발화 부분을 제외하고 자각화 프로그램의 범주를 머리부터 목까지로 한정 함으로써 연기자가 비언어적 훈련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신체자각에 관한 2가지 척도의 사전·사후 변화를 측정하였고, 연구 참 여자들의 심신적 변화를 심도 있게 탐구하고자 심층면담, 연구자 관찰일지, 자기보고서를 추가적으로 수 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통계 분석 패키지(IBM SPSS Statistics 22)와 NVivo 12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양 적·질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첫째, 자신의 습관과 타인에 대한 얼굴 자각화는 얼굴표현의 절제와 중립의 상태를 일깨워주었고 내적 표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외부 표출의 중요성을 알려주었다. 둘째, 자각화를 통한 얼굴 근육의 섬세한 조절은 감정환기를 불러일으켰고 얼굴의 무표현 또한 표현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본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얼굴 자각 능력 향상과 연기자를 위한 얼굴훈련의 토대를 만들었다는 결과를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 은 FACS를 활용한 자각화 프로그램이 연기자를 위한 얼굴자각 능력 향상 훈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 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각화 프로그램은 연기자가 얼굴표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텍스트를 제외한 비언어적 범위로 연구 범위를 축소하였고 훈련 의 신체 범주도 머리에서부터 목까지로 제한하였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의 목적
Ⅱ. 자각화 및 자각화 프로그램
2.1. 자각화
2.2. 자각화 프로그램
Ⅲ. 자각화 연구 방법과 결과 분석
3.1. 연구방법
3.2. 결과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