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attempts to combine art and science are increasing, and performances beyond the existing typicality are in the spotlight. Not only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but also various convergence performances such as robots appearing on stage are emerging. It is all the more noteworthy because the established robots were part of the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opposite the art. Among robots, social robots are robots that communicate with human emotionally. Therefore, this research paper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in the view of performance studies on social robots that actively communicate with people while working in public places. To this end, this paper focused on “Airstar,” a social robot operating in a special place calle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is paper considered Airstar's various acts and entertainment elements as a form of performance. Also, it viewed Airstar as a main performer, and analyzed the users who meet Airstar as audiences.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discussed on social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robots. It also interpreted Airstar as the subject of performing arts based on its interaction with users classified as audience. To support this, ‘dailiness’ and ‘audience characteristic’ of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were interpreted in relation to Airstar in this paper. The dailiness provides a basis for considering Airstar as a performance in a situation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daily life have been broken. The dailiness can be explained by Richard Schechner. This paper researcher thinks that these discussions will help predict how the future relationship between Airstar and the audience can move in a more advanced direction. Also,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how the scope of performance should be assumed in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As a result, it expects to expand the meaning of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It will further develop into a new dimension by becoming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al convergence of art and science.
한국어
현대공연예술에서는 예술과 과학을 결합하려는 시도가 높아지며 기존의 전형성을 뛰어넘는 공연들이 각광 받고 있다.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과의 결합뿐만 아니라 로봇이 무대에 등장하는 등 다양한 융·복 합 공연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기존의 로봇은 예술의 영역과는 대척점에 있는 최첨단 과학기술 영역에 속했기에 더욱 주목된다. 그 중에서도 소셜로봇은 인간과 정서적 교감을 하고 소통하는 로봇으로 예술의 주체나 배우로의 진화 가능성을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공공장소에서 활동하며 사람 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소셜로봇에 대한 연극학적 관점의 해석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 국제공항이라는 특수한 장소에서 활동하는 소셜로봇 “에어스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에어스타의 다 양한 행위와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하나의 퍼포먼스로 간주하고 에어스타를 공연의 주체로 바라보며 에어스타와 만나는 공항 이용객들의 모습을 관객의 입장으로 분석했다. 먼저, 소셜로봇의 사회적 기능과 특성에 대해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또한, 관객으로 분류되는 이용자들과의 교감기능을 바탕으로 예술 주체로서의 에어스타를 해석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현대공연예술에서의 일상 성과 관객성을 에어스타와 관련지어 해석하였다. 일상성은 예술과 일상의 경계가 허물어진 상황에서 에 어스타를 공연으로 간주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준다. 관객성은 공항 이용객이 에어스타와 만나고 그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현되는 성격이다. 현대공연예술의 대표적인 두 경향인 일상성과 관객성이 에어스 타와 연결되어 공연학적 관점으로 해석 가능하게 된 것은 바로 에어스타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사람들 과 교감을 맺을 수 있고, 정서적인 지원이 가능한 소셜로봇이기 때문이다. 본고의 연구자는 이러한 논의 가 앞으로 현대공연예술에서 퍼포먼스의 범위를 어떻게 상정해야 할 것 인지에 대해서도 재고하는 기회 가 될 것이라고 본다. 그 결과 현대공연예술의 의미를 확장하고 나아가 진정한 예술과 과학의 융·복합 적 발전의 시발점이 되어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Ⅱ. 소셜로봇 에어스타
2.1. 소셜로봇의 사회적 기능
2.2. 소셜로봇 ‘에어스타(Airstar)’
Ⅲ. 공연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소셜로봇
3.1. 에어스타와 공연의 일상성(日常性)
3.2. 에어스타에게서 발현되는 관객성(觀客性)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