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Television in Korea

원문정보

한국 라이프스타일 텔레비전 특성 연구

김영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Women’s Television in Korea imagines and promotes Western(ized) lifestyles as ideal ones in its highly popular format-i.e., local celebrities travelling across Western cultural borders. Specifically, this study looks into the ways in which the concept of lifestyle is constantly re-defined and re-worked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the highly competitive local media industry and of global marketers such as Samsung. In the proces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Korean lifestyle television will be delineated and discussed in detail. Secondly, it examines the ways in which popular discourses of the refined, trendy, urban lifestyles are consistently constructed not just in lifestyle programming but also through the diverse lifestyle marketing practices and promotional discourses of the sponsors. In so doing, this work will finally touch upon another critical issue of today’s mediatized society -the colonization and commodification of the popular imagination that are constantly at work along the global/regional/local nexus. By using the semiotic as well as discursive analyses in cross-examining the specific Korean lifestyle programs, we may be able to make sense of the hybrid nature of lifestyle programs as well as the over-determined identities of lifestyle channels in Korea that are gaining grounds rapidly in the local television content marke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 라이프스타일 텔레비전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여성 텔레비전’(Women’s Television) 혹은 여성 전문 케이블 채널들이 서구적인/서 구화된 라이프스타일을 가장 이상적인 라이프스타일로 상상하고 판촉하는 구 체적인 방식들 -예를 들면 스타와 함께 서구 사회의 문화적 경계를 자유롭 게 넘나드는 여행을 떠날 것을 권유하는 프로그램 포맷-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호학적 텍스트 분석’을 토대로 일련의 라이프스타일 텍스트 들을 가로지르며 나타나는 지배적 담론구성체(discursive formation)들에 대한 담론분석을 시도할 것이며, 동시에 기존의 텔레비전 문화연구의 대표적 연구 방법인 서사분석 방법 역시 적절히 활용하여 텍스트가 담지하는 문화적 특성 즉, 지배적인 문화적 코드, 내러티브 구조, 장르적 관습, 등장인물과 포맷의 전형성 등-을 세밀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한국의 대표적 라이프스타일 텔레비전인 <온스타일>과 <올리브>라는 두 여성 전문 케이블 채널 중에서도 특히 여러 층위에서 상징 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올리브의 를 분석 대상으로 선택하 였다. 이 프로그램은 스타와 여행을 결합시킨 하나의 ‘비주얼 미디어 스펙터 클’이자 노골적인 ‘라이프스타일 마케팅’을 하는 ‘상품(commodity)’ 이다. ‘정 려원 인(in) 런던’, ‘한예슬 인 LA’, ‘송혜교 인 파리’, ‘윤은혜 인 뉴욕’ 등으 로 이어지는 프로그램 포맷은, ‘여행’이라는 다소 고급스러우면서도 일탈적이 고 또 매혹적이면서도 환상적인 라이프스타일을 파는 전형적인 형식을 취하 고 있다. 거기에 아름다운 여배우들을 등장시켜 볼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최적 의 라이프스타일 프로그램으로 포장하는데, 여행사, 항공사, 의류업체 등의 협찬으로 막대한 제작비를 충당하는 이 프로그램은 사실상 방송사의 정규 프로그램인지 혹은 스폰서의 광고 마케팅 행위인지 그 경계가 매우 모호하다. 즉 이 프로그램은 앤더슨(Andersen, 1995)이 말한 전형적인 커머셜테인먼트 (commercialtainment) 내지 마케테인먼트(marketainment)가 한국의 미디어 지형 에도 안착했음을 알리는 상징적인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포맷의 등장은 한국보다 훨씬 더 상업화 되어 있는 미국의 미디어 전경에서 지배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 두 가지 형태의 라이프스타일 프로그램 들-즉, 다소 투박하고 정적인, DIY 중심의 전통적인 라이프스타일 프로그램 이란 하위 장르(sub-genre)와 섹슈얼리티 등의 문제를 전면에 부각시켜 일반 리얼리티 쇼 못지않게 흥미 위주로 끌고 가는 일련의 라이프스타일 프로그램 들-과는 묘한 대조를 이룬다. 새로운 미디어 형식의 ‘깊은 구조’를 꿰뚫어 볼 수 있게 해주는 문화적 분석 및 통찰력 있는 해석을 통해, 점차 영역을 확 대해 가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프로그램의 혼종적 성격(hybridity) 그리고 나아 가 라이프스타일 채널의 중층적 정체성을 규명해 나갈 수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 개념이 한국의 로컬 미디어산업의 이해 관계에 따라 미국의 라이프스타일 프로그램들과는 다른 차원에서 재규정/재 창조/재구성되는 독특한 방식들에 주목하였다. 즉 세련되고, 도시적이고, 트렌 디한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대중적 담론(popular discourse)이 단지 라이프스타 일 프로그램 안에서 뿐만 아니라 스폰서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마케팅 행위 를 통해서 어떻게 동시적으로 구축되는지도 살펴보았다. 말하자면 이 연구는 현대 상업 미디어와 관련된 또 다른 핵심 이슈, 즉 대중적 상상력(popular imagination)의 식민화와 상품화 경향성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의 라이프스타일 프로그램에 대한 실증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첫 연구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Ⅰ. Lifestyles and the Emergence of New Television Culture
Ⅱ. From Cultural Texts to Commercial Discourses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김영찬 Division of Communication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