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Localization of Global Television Format in Korea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localization process of the global TV format reproduction in Korea.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ho were engaged program production and audience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global format localization factors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two factors of global format localization in Korea. The first one is domestic contents production environment and the other one is korean audience preference reflection. The audience preference reflection was consisted of localization factors which were expressing the korean sentiment. Global format bible was a main factor that affects the level of localization. The role of casts, expertise, frequent subtitles appearance and product placement cause differences between orignal and localizing format program. Reflection of Korean sentiment by avoiding conflicts and strong criticism have earned positive audience review. On the contrary, weakening of expertise by increasing of celebrity proportions was recognized negative factors that caused by contents production conditions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글로벌 TV 포맷이 국내에서 재제작되는 경우 현지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포맷유통과 포맷 제작에 참여한 제작전문가와 시청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글로벌 포맷의 한국 현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글로벌 포맷의 국내 현지화에는 국내 제작 환경 차원의 요인과 시청자의 선호를 반영하 는 요인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시청자의 선호를 반영하는 측면에는 한국적 정서를 표현하는 현지화 요소의 등장으로 나타났다. 글 로벌 포맷의 바이블이 현지화의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출연진 의 역할이나 전문성, 빈번한 자막등장과 간접광고 등이 원작과 국내 재제 작 포맷 간의 차이를 두드러지게 했다. 포맷에서 출연진들이 갈등을 피하 거나 심한 비판을 자제하는 한국적 정서의 반영은 시청자들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연예인으로 집중된 출연지의 전문성의 약화는 국내 제작 현실 문제에 따른 현지화의 부정적 요소로 인식되고 있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