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선거후보자에 대한 프레이밍 효과 연구 -미디어 프레임과 기사논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Framing Effect about the Candidate : Focusing on Media Frames and Tone of articles

김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port behavior of the Press is noticeable especially during the election. If the Press distorts the information in the middle or presents the wrong criteria, the result of the election can be changed. That is, when audiences are exposed into different frames even on the same event, they accept and judge the news reports based on specific information in each fram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audiences accept different information towards a same event when provided articles are manipulated frames regarding the candidate. Specifically, two frame articles are manipulated. One focuses on personal matters of the candidate, Strategy frame, the other focuses on the election pledge, Issue frame; using two types of articles; one with negative tone and vice versa. Then, it examines how manipulated articles influence audiences’ awareness about the candidate and intention of voting. The result says that the audiences understand the article related to personal matters more than the election pledge and they were especially interested in the article with Strategy frame and negative tone. This result shows a difference in Credibility, Favorability and Assessment of ability about the candidate. In addition, Favorability and Assessment of ability about the candidate may have influence on intention of voting.

한국어

언론의 보도행태는 특히 선거상황에서 두드러진다. 언론이 중간에서 정 보를 왜곡해 전달하거나 기준을 잘못 제시하면 선거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즉, 같은 사건이라도 다른 프레임에 노출된다면 수용자들은 각 프레 임의 특정한 정보에 근거해 뉴스보도를 받아들이고 판단할 것이다. 따라 서 본 연구는 선거후보자에 대한 프레임을 조작하여 수용자들에게 기사를 제공했을 때, 수용자들이 같은 사안에 대해 어떻게 다르게 받아들이는 지 를 파악하고자 한다. 선거후보자에 대해 개인적인 사안에 초점을 맞추는 기사(전략 프레임)와 공약에 초점을 맞추는 기사(이슈 프레임), 더불어 부 정적인 기사논조와 긍정적인 기사논조를 조작해, 후보자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과 나아가 투표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 구결과, 수용자들은 선거후보자에 대한 공약보다는 개인적인 사안에 대해 더 이해가 잘 되었다고 답했고, 수용자들은 부정적인 논조의 전략 프레임으로 쓰인 기사에 가장 큰 흥미를 나타냈다. 선거후보자에 대한 신뢰도, 호감도, 능력평가 나아가 투표의도에서도 모두 차이를 보였으며, 선거후보 자에 대한 호감도와 능력평가가 선거후보자에 대한 투표의도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문제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미경 Mi-Gyeo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