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방송산업의 계급구성과 디지털 테크놀로지 -6mm 디지털 카메라의 정치학-

원문정보

Class Composition and Digital Technology in Korea Broadcasting Industry -The Politics through 6mm Digital Camera-

김동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roadcasting industry is not so much a particular sector of new economy as an instance of the circuit of capital in a society. In other words, broadcasting as a public service could be a new place for capital that is at stake. The capital’s flight to broadcasting sector have to need new wage-labour class because capital is not a thing such as money but an economic ‘form’ that historically specific capitalist class relation assumes. After 1990s, the expansion of Korea broadcasting industry means not only flexible production of programme contents but the explosive increase of irregular employment. The flexiblization and irregular employment in Korea broadcasting industry could be read in context of class struggle, as it were, the recomposition of class relation in Korea society. Digital media technology that had been introduced in mid-1990s was a very important apparatus to recompose the class relation in broadcasting industry. Most importantly, ‘digital 6mm camera’ that had come into wide use after economic crisis in Korea in 1997 caused great changes in the role and relationship between irregular labourer and regular labourer in production system. Due to low production cost, decrease in number of labourers resulted in intensifying labour and providing a chance of upskilling for irregular labourers.

한국어

노동과정 내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도입은 생산성의 향상이나 노동의 절 약과 같은 명분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글에서는 테크놀로지의 도입 을 기존의 까다로운 노동계급의 저항에서 벗어나 새로운 임노동관계를 재 구성하려는 자본의 ‘도주’ 전략 중 하나로 파악한다. 특히 한국 방송산업 의 경우, 1997년 공황을 전후로 도입된 6mm 디지털 카메라와 편집 시스 템은 자본이 되기 위해 갖춰야 했던 새로운 임노동관계의 형성에 있어 중 요한 성찰의 지점을 제공해 준다. 이는 테크놀로지 도입이란 노동의 질적 저하와 탈숙련을 가져온다는 기존의 논의를 넘어, 비정규직과 같은 새로 운 임노동관계와 방송산업구조의 유연화라는 노동-자본 간 세력관계의 관 점에서 바라보아야 함을 뜻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진행되어 온 한국사회 내 노동-자본의 세력관계 변동을 전제로 하고, 그 구체적인 표출로서의 방송산업 내 비정규직 노동계급의 구성을 역사적 맥 락에서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무엇보다 사회적 서비스로의 방송 산업이 자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취해야만 하는 임노동관계의 형성 과정 에 대한 고찰뿐 아니라, 역으로 자본으로서의 방송이 어떠한 취약함을 보 여주는지를 드러내는 비판의 작업이기도 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한국 방송산업 노동과정의 재구성과 회고
Ⅲ. 자본 물신성: 노동의 착취 혹은 노동에의 의존
Ⅳ. 테크놀로지 물신성
Ⅴ. 디지털 6mm 카메라와 비정규 노동계급의 형성
Ⅵ. 결론: 한국 방송자본의 새로운 의존성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원 Dong-Won Kim. 공공미디어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