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호락에서 미발지각의 정중동(靜中動)에 관한 논쟁 - 이현익과 권상하․한원진의 논쟁 및 낙학에서의 논쟁 -

원문정보

Ho and Rak Group’s Debate on Whether Perception at the Not-Yet Arouse State in Mind Has Motion inside the Quiet or Not - Focusing on A Debate between Gwon Sangha and Yi Heonik, and Han Wonjin’s Criticism of Yi, and between the Members in Rak Group -

이종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erception at the Not-Yet Arouse State in Mind is not dark because of having yang, and this is Ho and Rak Group’s common point. Yi Hyeonik, a member of Rak group, argued that perception is no dark, the not-yet aroused state(未發), and it means quiet(靜) against Gwon Sangha’s argument, the perception meaning motion inside quiet(靜中動). Gwon has based on Zhu Xi’s reponse to Zhang Qinfu and so he argued the perception meaning motion inside quiet because it is Fu(䷗), which six at the beginning is yang. By contrast, Yi regarded that of Gwon as an imperfect theory of Zhu.‘s early years and so he argued Zhu’s response to Lu Ziyue as a perfect theory of Zhu.‘s latter years. This is Kun(䷁), which of no yang line and so means quiet. On Yi’s criticism of Gwon, Han Wonjin, a student of Gwon and member of Ho group, criticized against Yi, because although Kun has yang gi and so the perception means motion inside quiet. Yi has also regarded it as having a little yang gi but because it has yang line and so the perception has no motion. This debate developed to between Yi and Park Pilju in Rak group, and Yi’s argument is repeat. On this debate, Kim Changheup, a representative of Rak group, commented and he regarded Zhu Xi’s reponse to Zhang Qinfu as a perfect theory of Zhu.‘s latter years as well as Gwon, so Park’s argument is close to Kim. Kim and Park in Rak group have a common point with Gwon and Han in Ho group. Although Yi is a member in Rak group, he has a difference between Kim and Park. Therefore, this was different from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Jeongjo’s classification, Han as a member of Ho group and Kim as a member of Rak group, which they had a debate because a difference between their arguments.

한국어

미발시 지각이 어둡지 않은[지각불매(知覺不昧)] 이유는 양기(陽氣) 때문이라 는 것은 호학과 낙학의 논쟁자들이 모두 공감한다. 하지만 호학의 권상하는 그것을 정(靜) 속의 동(動)이라고 주장하였고, 이에 대하여 낙학의 이현익은 그렇지 않다 고 비판하였다. 권상하는 주희의 「답장흠부」에 근거하여 미발시 지각을 초효가 양인 복괘(䷗)에 해당되는 것이므로 정중동(靜中動)이라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이현익 은 그것을 주희의 초년미정설이라고 규정하였고 「답여자약」을 만년정론이라고 하 여 그것을 근거로 미발시 지각을 복괘가 아니라 곤괘(䷁)에 해당되고 양기는 있지만 양효로 형성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동이라고 간주할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하여 한원진은 스승 권상하의 주장을 옹호하면서 곤괘라고 할지라도 양기가 잠재 되어 있기 때문에 미발시 지각을 정중동이라고 주장하면서 이현익을 비판하였다. 미발시 지각 즉 사려가 아직 생기지 않았을 때에도 지각이 어둡지 않은 이유는 양기 가 있으므로 정 속에 동이 잠재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한원진은 여겼다. 이 논쟁은 훗날 낙학 안에서도 이현익과 박필주의 논쟁으로 전개되었으며 이현익은 여전히 같은 주장을 반복하였다. 둘의 논쟁에 대하여 김창흡이 평론했는데 그 역시 주희의 「답장흠부」를 정론이라고 여겼고, 이 때문에 그는 권상하와 일치하고 이현익과 다르며 박필주가 김창흡과 일치하였다. 김창흡과 박필주는 이현익과 같은 낙학이지만 그 설이 서로 달랐고, 오히려 김창흡과 박필주는 호학인 권상하와 한원진의 설과 같았다. 반면에 이현익은 낙학이지만 호학 뿐만 아니라 낙학인 김창흡과 박필주의 설과도 달랐다. 이것은 『정조실록』에 한원진을 호학, 김창흡을 낙학이라고 분류하여 서로 설이 달라 논쟁을 벌였다고 기록한 것과 다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미발시 지각은 정중동(靜中動)인가? 아닌가?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우 Yi, Jong-woo.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