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추사 일파의 초상 題贊 운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ortrait panegyrics and related poetry of Chusa school

추사 일파의 초상 제찬 운문 연구

김기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usa Kim Jeong-hui school had developed a very special and international literary style through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19th century, including their portrait culture. In the case of the Chusa school, distinct characteristics related to overseas experience and the portraits produced by the specific group (portraits in a unique style drawn by Chinese painters during the overseas experience) are conspicuous, and there are some parts that are partially transformed while being in line with the portrait culture favored and enjoyed by the group of Weng Fang-gang of Qing China in the same period. In this article, on the basis of prior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art history that revealed these aspects, by adding analysis focusing on changes in portrait recognition and genre characteristics, it will help to reconstruct various aspects of the portrait culture of the Chusa school in the sense that images and texts are combined. As a part of such work, this article analyzed a special aspect about statements on the residence of portraits or statements on the positioning of portraits (spatial rhetoric) with Buddhist infinite number. Furthermore, the mutual reflection between poetry and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is period affects the method of describing portrait panegyrics and the background context. Finally, by summarizing variables such as the overseas experience of the Chusa school and the speciality of portraits calculated by this, we can explore the points that should be noted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literary genre called portrait panegyrics, and establish a basic perspective when using the texts in this article as the basis for the future historical studies on portrait panegyrics.

한국어

추사 김정희 일파는 19세기에 청 옹방강 일파와의 한중교류를 거쳐 매우 특수하 고도 국제적인 문예 양식을 발달시켜 갔고, 이들의 초상화 문화 역시 그 중의 하나이 다. 추사 일파의 사례에서는 해외 체험과 이를 통해 산출된 초상의 특수성(해외 체험시 중국인 화가에 의해 그려진 특이한 양식의 초상)이 두드러지며, 동시대의 옹방강 일파가 선호ㆍ향유했던 초상 문화와 궤를 같이하면서도 일부 변용하는 부분 도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측면을 밝힌 한국한문학ㆍ미술사학 방면 선행연구들 의 바탕 위에, 초상화찬의 전변과 장르적 특징에 초점을 맞춘 분석을 덧붙임으로써, 이미지와 텍스트가 결합된 차원에서 추사 일파 초상 문화의 제 국면을 재구해 나가는 시도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작업의 일부로서 본고에서는 초상 題贊 운문류 의 거처 언술 내지 초상의 위치 지정 언술이 불가적 無限數를 동반하고 나타나는 특수한 국면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 시기 韓中墨緣의 詩書畫間 상호반영성이 초상 題贊 운문의 서술방식과 배경적 맥락에 영향을 주는 부분을 약술하였다. 끝으 로 추사 일파의 해외 체험과 이를 통해 산출된 초상의 특수성 같은 변수들을 초상화 찬에서의 시ㆍ공간성 도입 문제와 연계시켜 개술함으로써, 초상화찬이라는 문학 장르 내부의 史的 전개에서 특기할 만한 지점을 탐색하고 본고의 자료들을 향후 초상화찬史 서술의 기반자료로 삼을 때의 기본 시각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구조적 서식과 내용적 특성
3. 문예사적 의의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

저자정보

  • 김기완 Kim, Ki-wan. 고려대학교 박사후 국내연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