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nsideration of an Effective Stage Video and Design Philosophy - Focusing on Performing Arts Projects in which the author participated
초록
영어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effective stage video designs based on performing arts in which the author participated. I explore the significance of stage video and philosophy as a designer by analyzing the production process through the lens of my recent works. I underwent numerous trial-and-error experiences during these productions, and among them, I present several cases as examples of effective factors in video design. By analyzing these cases, I found that they can be interpreted and documented in common terms. In the main articles, entitled ‘videos that help one to understand plays’, ‘videos using meaningful primary materials’, ‘videos that communicate space-time with stage elements’ and ‘videos that help with stage design and mise-en-scène, I describe the major elements. In other words, the paper discusses how design ‘leads the audience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performance’, helping them to ‘take responsibility as an artist’, ‘communicates with stage elements through new attempts’, and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pression’. Currently, stage video is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performance conten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entire stage video industry, as it becomes more active over time, in addition to individual researchers. Hence, I expect this study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ose involved in intermedia arts and content creators.
한국어
본 논문은 연구자의 공연작품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무대영상디자인에 대한 고찰을 전개하였다. 연구자의 최근 작품들을 사례로 제작과정을 분석하면서 무대영상의 의의와 디자이너로서의 철학을 모색하려는 것 이다. 연구자는 제작을 통해 다양한 시행착오를 겪었고, 그 가운데 효과적인 영상디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몇 가지 예를 획득하였다. 사례를 분석해 보면서 공통된 용어로 해석하고 자료화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론에서는 ‘극의 이해를 돕는 영상’, ‘의미 있는 1차 소재를 사용한 영상’, ‘무대요소 와 시공간적으로 교감하는 영상’, ‘무대미술 및 미장센을 돕는 영상’을 주요 요소로 기술하였다. 이는 관 객이 ‘공연에 몰입’하도록 이끌고, ‘예술가로서의 책무’를 지니며, ‘새로운 시도로 무대요소와 소통’하고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무대영상은 융복합형 공연 콘텐츠 개발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와 같은 모색이 비단 연구자 개인을 위해서만이 아닌 앞으로도 더욱 제작이 활발해질 무대영상의 업계에 도움이 되는 것이 연구의 목표이다. 본 연구가 융합예술 및 창작자 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대상
2. 효과적인 무대영상디자인의 고찰과 작품의 사례
2.1. 극의 이해를 돕는 영상
2.2. 의미 있는 1차 소재를 사용한 영상
2.3. 무대요소와 시공간적으로 교감하는 영상
2.4. 무대미술 및 미장센을 돕는 영상
3.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