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타 존재(I' etre pour autre)와 아리스토텔레스의 필리아(philia)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cept of Philia in the Aristotelian Ethics

김요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ristotelian philia can stand for any mutual attraction between human beings. Man can and should take a warm personal interest in other people. A man wishes well to his friend for his friend's sake, not as a means to his own happiness. The various forms of friendships mentioned by Aristotle are all illustrations of the essentially social nature of man. On the lowest plane he needs friendships of utility, since he is not economically self-sufficing. On a higher plane, he forms friendships of pleasure. He takes a natural delight in the society of his fellows. On a higher still, he forms friendships of goodness in which friend helps friend to live the best life. The most interesting part of the discussion is that in which Aristotle propounds the view that friendship is based on the love of the good man for himself. The good man wishes and does the best for the intellectual element in him which is most truly himself. He has most harmony with himself at any given moment, and most constancy from moment to moment. It is because these relations exist within the good man and because his friend is to him another self, that friendship is held to possess these characteristic. Aristotle's theory here is an attempt to break down the antithesis between egoism and altruism by showing that the egoism of a good man has just the same characteristics as altruism.

한국어

물밀 듯 들어오는 신자유주의의 시대적 조류에 발맞춰 우리 사회는 급기야 ‘황금’이라는 바알신(Baal)을 숭배하는 황금만능세상으로 탈전통화가 이루어졌고 무한경쟁을 최고 도덕 가치로 숭상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우리는 내신, 대학 입시, 취업, 승진으로 이어지는 끊임없는 경쟁 구도 속에 적자생존의 원칙에 따라 끊임없이 타인을 절대적 적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는 왜곡된 타인상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왜곡된 타인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사유 틀을 우리는 가질 수 없는 것일까?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이 글에서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제안한다. 우선 사르트르의 대타 존재라는 개념을 통해 신자유주의에 의해 왜곡된 타인의 개념을 분석할 것이다. 사르트르는 『존재와 무』에서 인간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묻고 자신을 초월해가는 자유로운 주체, 즉 자신의 행동으로 스스로를 창조하는 존재가 바로 인간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바로 이 자유의 실현이 무한 경쟁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는 씨앗이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인간 모두가 함께 자유로울 수 있는 길이 있는 가 그 가능성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사르트르는 『변증법적 이성비판』에서 그 가능성을 마르크스주의에서 찾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는 이 가능성을 아리스토텔레스의 필리아 개념에서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그 핵심 개념을 『니코마코스 윤리학』 VIII 2와 『수사학』 II 4를 중심으로 살펴 볼 것이다. 이 연구는 인간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타인의 본질로 보고 서로에게 선의를 갖는 필리아의 개념을 통해서 어떻게 우리 안의 왜곡된 타인의 모습들이 회복될 수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연구자는 필리아의 개념 연구가 끊임없이 경쟁을 유도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타인과의 관계 극복할 수 있는 도덕성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사르트르의 존재론
2.1 대자(對自) 존재와 즉자(卽自) 존재
2.2 대타 존재(I' etre pour autre)
2.3 가학증과 피학증
3. 아리스토텔레스의 필리아(philia)
3.1 기초개념
3.2 완전한 덕과 부분적 덕
3.3 미래와 과거
3.4 본질과 우연
4. 결론: 왜 아직도 아리스토텔레스인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요한 Johann Kim. 전북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