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버클리의 시각 이론

원문정보

Berkeley's Theory of Vision

이재영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38집 2005.09 pp.239-26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article I will consider the meaning of the debate concerning the status of An Essay Towards a New Theory of Vision in Berkeley's philosophy. In this book Berkeley assumes that the objects of touch exist without the mind, but the objects of sight exist in the mind. However, in his A Treatise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Human Knowledge he argues that the objects of touch as well as the objects of sight exist in the mind. Many commentators have interpreted that the disparity between two works was a kind of tactics by which Berkeley hoped his daring idealism to be received more easily. In objection to this traditional interpretation, Armstrong argues that the heterogeneity of the objects of sight and of touch shows the An Essay Towards a New Theory of Vision is independent of the A Treatise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Human Knowledge. Furthermore, Atherton argues that we must read the latter through the former, then the disparity between two works will disappear, and Berkeley's idealism will be interpreted newly as the theory of visual representation which leaves Berkeley's philosophy considerably less at variance with common sense.

한국어

나는 이 글에서 『새로운 시각 이론』의 지위에 관한 논쟁이 버클리 철학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찰하려고 한다. 버클리는 『새로운 시각 이론』에서 촉각 대상은 마음의 외부에 존재하지만, 시각 대상은 마음 안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인간 지식의 원리론』에서는 시각 대상과 마찬가지로 촉각 대상도 마음 안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불일치를 버클리가 자신의 대담한 관념론을 더 쉽게 받아들이게 하려는 일종의 전략이라고 해석해왔다. 암스트롱은 이러한 전통적인 해석에 반대하고 시각 대상과 촉각 대상의 이질성은 『새로운 시각 이론』의 독자성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애써튼은 『새로운 시각 이론』을 통하여 『인간 지식의 원리론』을 볼 것을 주장한다. 그렇게 볼 때 두 저작 사이의 불일치는 사라질 것이며, 버클리의 철학은 상식과 크게 모순되지 않는 시각적 표상론으로 새롭게 해석될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시각론』의 개요
3. 『시각론』의 지위에 관한 전통적 해석
4. 『시각론』의 독자성에 관한 논쟁
4.1 암스트롱의 견해
4.2 버만의 견해
4.3 애써튼의 견해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재영 Jaeyeong Lee. 조선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