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초학문으로서 비판적 사고의 개선방향 : 비판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Ein Vorschlag fur die Verbesserung der “Critical Thinking” als Grundwissenschaft : Hinblick auf “Critical Writing”

하병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철학의 전통적인 사명 중에 하나가 모든 학문에 대한 기초학문의 역할이다. 이러한 사명을 실천하고 있는 분야 하나가 ‘비판적 사고’이다. 폴과 김영정이 제시한 비판적 사고의 요소와 기준을 검토해 보면, 이것들은 특히 비판적 글쓰기에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논문은 텍스트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문제, 주장, 근거, 개념을, 콘텍스트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목적, 관점, 맥락을 제시한다. 그리고 특히 비판적 글쓰기는 언어의 문제와 독자·청중의 문제를 심도 있게 고려해야 ‘글쓰기’로서의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최근에 학계에 다시 주목받고 있는‘수사학’이 제공하고 있는 설득의 3대 요소 로고스, 에토스, 파토스를 비판적 글쓰기와 결합한다. 그리고 비판적 글쓰기의 요소를 네 개의 범주, 즉 사고, 언어, 세계, 타자로 나누고, 이들의 관계망에 대한 설명을 통해 비판적 글쓰기의 다섯 개의 기준, 즉 중요성, 정당성, 명확성, 공감성, 윤리성을 제시한다.

기타언어

Was wir mit Bezug auf den traditionellen Beruf der Philosophie nicht vergessen duerfen, ist es, dass die Philosophie ein Grundwissenschaft fuer alle Einzelwissenschaften sein sollte. Die neuere Disziplin “Critical Thinking” ist zur Zeit in dem Sinne der Philosophie als Grundwissenschaft aufzumerken. Wenn wir aber die Elementen und Massstaben der “Critical Thinking” and “Critical Writing” genauer betrachten, die R. Paul und Youngjung Kim vorgeschlagen haben, finden wir einige Sachen, zu verbessern. Daher der Verfasser schlaegt besonders mit der Hinblick auf “Critical Writing” vor, dass die “Critical Writing” die Sprache und die Hoerschaft noch mehr beruecksichtigen muss. Es handelt sich in der “Critical Writing” nicht nur um Logos, sondern auch um Pathos und Ethos. Nun schlaegt der Verfasser Denken, Welt, Sprache und die Anderen als die 4 Kategorien der Elementen der “Critical Writing” und die Wichtigkeit, Richtigkeit, Klarheit, Sympathie und Sittlichkeit als die 5 Massstaben der “Critical Writing” vor.

목차

요약문
1. 우리시대 철학의 소명과 철학교육
2. 비판적 사고의 정의
3. 비판적 사고의 요소와 기준
4. 비판적 사고의 요소들에 대한 검토
5. 비판적 글쓰기와 수사학
6. 비판적 글쓰기의 요소와 기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병학 Byunghak Ha. 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 전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