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의식의 경험과 사회적 이성

원문정보

Die Erfahrung des Bewußtseins und die soziale Vernunft bei Hegel

조극훈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36집 2005.03 pp.311-33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글은 헤겔의 정신현상학 이성장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이성’의 요소를 도출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먼저 헤겔의 정신현상학에 있어서 이성의 성립과정을 <의식>과 <자기의식>이라는 의식의 경험을 통해서 밝혀보았다. 이성은 의식과 자기의식의 통일에 의해 성립된 의식의 형태로서 이론 이성과 실천 이성 그리고 양 이성의 통일인 개체성을 내용으로 한다. 특히 개체성의 “사상자체”는 의식의 실천적 활동이 사회화된 구체적인 내용으로 전환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따라서 헤겔의 이성은 도덕적 실천 이성이 아니라 일정한 사회적 공간에서 실현된 사회적 이성으로 규정할 수 있다. 헤겔의 이성을 사회적 이성으로 규정할 수 있는 근거로 필자는 세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헤겔의 문제의식과 관계된 것으로 절대자는 실체로서뿐만 아니라 주체로서 파악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절대자를 주체로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은 이성이 내면적 도덕률이나 인식의 원리에 그쳐서는 안 되고 구체적인 사회 역사적 공간에서 실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헤겔의 변증법은 부정의 활동을 계기로 현실의 모순을 개념파악하는 것으로 사회 현실을 이성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방법론이라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 이성이 성립하기 위한 요건으로 “사회적 상호인정”, “보편윤리의 정립”, “사회적 실천”을 제시했다.

기타언어

Das Wesen der Vernunft bei Hegel besteht darin, daß sie insbesondere die soziale Vernunft ist. Denn sein Vernunftbegriff wurde zuerst als ein Mittel gesetzt, Entzweiung und Widerspruch des Zeitalters vershnen und vereinigen zu knnen. Also ist sie so dynamisch, daß sie die undurchsichtliche und irrationale Situation der sozialen Wirklichkeit begreifen kann. Die soziale Vernunft ist das, vielseitige Beziehungen zwischen Vernunft und Wirklichkeit zu untersuchen und ihre reinigste begriffliche Form zu konkretieren. Und sie ist auch praktisch, weil sie nicht nur das widersprchliche Verhltnis von Bewußtsein und Gegenstand faßt, sondern auch die allgemeinen Normen in der Wirklichkeit erzeugt.Die soziale Vernunft ziehlt also auf die rationale Praxis, welche, indem sie die mannigfaltigen Seiten der Wirklichkeit begreift und die allgemeinen Normen dafr erzeugt, die darin hufig vorkommende Irrationalitt den eigenen Begriffen gemß kritisieren und aufheben soll. Diese Bestimmung und Momente der sozialen Vernunft zielte ich heraus dadurch, das Kapital Vernunft in Hegels Phnomenologie des Geistes zu analysieren.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의식의 경험
2.1 의식과 이성
2.2 실천의식과 실체적 인륜성
2.3 사회적 이성의 모태로서의 사상자체(Sache Selbst)
3. 사회적 이성의 규정
4. 사회적 이성의 계기
4.1 사회적 상호인정
4.2 보편윤리의 정립
4.3 사회적 실천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극훈 동국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