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가철학에 있어서 文과 道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주자의 理氣論을 통해서 본 文과 道의 관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在儒家哲學'文道'之關系以及功能

유가철학에 있어서 문과 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주자의 이기론을 통해서 본 문과 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황갑연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36집 2005.03 pp.181-21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朱子所成就的學問成果非常廣範. 他是個綜合北宋理學之一代哲人, 亦是道德實踐家. 竝且對於經學與史學, 還有對於音樂與天文學及自然學成就了專家水平之成果. 不止於此, 他又指出了最具有儒家色彩的文學理論. 他是個詩人, 亦是個文學理論家. 然而, 他的文學理論, 與哲學比較而相對地論, 竝不熱烈地受到後人的注目. 在中國哲學史與文學史, 他的文學理論所站的地位竝不高. 但筆者認爲他的文學理論最透露了儒家文學理論的特色. 他的文學理論與儒家哲學有密切地關聯. 儒家不把現象視爲價値中立的存在, 而視爲道之顯現. 他根據這種世界觀來構成‘文從道出’的文道觀. 也就是說, 在他的文學世界, 文就是道之顯現. 雖然道與文之間, 有本末或體用之差別, 但文與道絶不是互相對立之二物. 筆者把這篇論文之題目爲‘在儒家哲學文與道之關係’, 再加上一個副題. 副題爲‘從朱熹的理氣論看文與道之關係’. 從孔子開始的儒家文道觀, 經過先秦與兩漢以及唐宋時代, 分化而代表每個時代的意義. 但不免有所偏. 到了朱子, 回歸於孔子文道觀之宗旨, 一方面要突破唐宋代古文家之文道觀, 別一方面要修正北宋道學家之文道觀, 終於完成體用一源的‘文便是道’文學理論. 因此若硏究朱子文道觀, 必先理解前代的文道觀. 同樣地, 已經理解朱子之文道觀, 就容易把握前代文道觀之特性與缺点. 這朱子文道觀的形上理論根據爲他的理氣論. ‘文是文, 道是道’與‘文便是道’這兩句代表朱子文道觀之特色. 表面上看, 這兩種理論似乎互相矛盾, 但竝不矛盾. ‘文是文, 道是道’則代表理氣不雜, 而‘文便是道’則代表理氣不離. 前者就體上講的, 後者就用上講的. 理氣不離不雜就是朱子文道觀之形上根據. 這就是筆者以‘從朱熹的理氣論看文與道之關係’爲副題之原因.

한국어

주자의 학문세계는 대단히 광범위하다. 그는 다양한 분야에까지 학문적 업적을 이룬 학자였다. 먼저 그는 송명이학을 집대성한 위대한 철인이었으며, 도덕실천가였다. 또한 경학사학음악천문학자연학 등에 대해서도 전문가적인 수준의 업적을 성취하였으며, 문학에 관해서도 주목할만한 작품과 이론을 내놓았다. 그는 시인이었으며, 문학이론가였다. 그러나 문학에 관한 주자의 이론은 철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의 문학이론은 비단 중국철학사뿐만 아니라 중국문학사 연구에서도 그의 문학이론이 갖고 있는 본래의 가치에 비해 덜 중시되었다. 그러나 주자의 문학이론은 유가적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즉 주자는 현상을 가치중립적인 세계로 보지 않고 도의 현현으로 보는 유가의 세계관을 문학이론에 접목시켰다. 때문에 그의 문학이론은 문학과 철학의 종합적 성격을 갖고 있다. 필자는 논문 제목을 ‘유가철학에서 文과 道의 관계에 관한 연구’로 삼았지만 ‘주자의 理氣論을 통해서 본 文과 道의 관계를 중심으로’라는 부제를 첨부하였다. 그 이유는 공자에 의해 제시된 文道論이 先秦諸學者를 거쳐 兩漢 그리고 唐宋代를 경과하여 주자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완성되었기 때문이다. 주자의 문도론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前代 諸儒의 문도론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주자의 문도론 체계를 파악하고 있으면 전대 제유의 문도론이 갖고 있는 특성과 문제점을 용이하게 밝혀 드러낼 수 있다. 또 필자는 주자의 문도론을 理氣論을 근거로 조명하였다. 그 이유는 주자의 문도론은 이기론을 근거로 정립되었기 때문이다. 주자 문도관은 ‘문은 문이고, 도는 도이다’(文是文, 道是道)와 ‘문은 곧 도이다’(文便是道)로 대표할 수 있다. 양자는 서로 모순인 것 같지만 결코 모순 관계가 아니다. ‘문은 문이고, 도는 도이다’는 理氣不雜을 근거로 한 것이고, ‘문이 곧 도이다’는 理氣不離를 근거로 한 것이다. 전자가 體 측면에서 말한 것이라면, 후자는 用 측면에서 말한 것에 불과하다. 필자는 주자철학의 체용론을 근거로 주자의 문도관계를 설명하였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유가 文道論의 기본 틀
3. 주자 文道論의 두 방향
4. 주자의 理氣論과 文道論
4.1 理氣不雜과 '文是文, 道是道'
4.2 理氣不雜과 '文使是道'
4.3 '理一分殊' 와 '文皆是從道中流出'
5. 德과 文의 관계에 대한 주자의 해석
6. 맺는 말
中文秒錄

저자정보

  • 황갑연 순천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