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자의 지식관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view point of the knowledge of Laotzu

류성태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34집 2004.09 pp.267-29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the 21st century which has a character just like the knowledge and the information. That is what it is in the van of the new era with some radical changes. The knowledge and the information let the science & the civilization go further for the human being. In the civilization, there has been changing a historical bridge between the ancient and the current.Through reviving the old and learn the new, the old philosophy & Religion are sure to support an idea and virtue to a new world of the knowledge. It will be desirable that the ancient spirit applies to the current civilization for the right way by overcoming an abuse of the artificial knowledge. It is enough to become the principle of reviving the old and learn the new in studying the knowledge-view of Laotzu, so it contributes to minimizing the abuse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t will give the chance of developing the character of people and their civilization, in sharing the sense of such an old philosophier as Laotzu, by which we can learn the using way of the mind in practising the knowledge. So, we will follow the nature of the knowledge without artificial discriminating the reality. It is the Tao which we are sure to be awakened after all. After all, by studying the view point of knowledge urged by Laotzu, we can find out what is desirable between the positive view and negative one about the knowledge. The Sage who are awakende the Tao will lead human being to the right way of using the great knowledge(大知) by way of following the pure Nature without an artifical ways.

한국어

노자가 살았던 시대는 춘추전국시대로서 제자백가의 백가쟁명이 난무하던 때였다. 따라서 각종 학파의 주의주장이 팽배하였고, 그로 인해 제학파의 이론과 지식 등이 거론되기도 하였다. 여기에 도가로서 노자는 그 나름의 지식론을 설파하게 된다. 다른 어느 때보다 주의주장이 난무했던 당시였기에 노자의 지식론 연구는 그 의미가 크다.아울러 노자가 강조하는 바, 道의 세계에 진입하는데 지식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도 궁금한 일이다. 도와 지식의 상관관계가 이와 관련된다. 나아가 지식을 축적하는데 도구로 사용되는 언어의 이해도 요구된다고 본다. 지식과 언어의 관계 파악도 필요하다고 본다.이에 중국 고대의 도가사상을 통해서 지식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도 필요하다. 즉 노자 지식의 의미를 어떻게 보았고, 지식에 대한 전반적 관점은 어떻게 정립될 수 있는가가 본 연구의 주 관심사항이다. 노자의 지식관을 정립하는데 있어 흐름을 같이하는 장자의 관점도 여기에서 덧붙여지고 있다.나아가 노자의 지식관 저변에 흐르고 있는 원리이자 그 의의가 무엇인가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노자의 지식에 대한 이해 속에는 공통된 원리가 있을 법한 일인데, 이는 노자 지식관의 의의로서 조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공통된 의의이자 원리는 노자 사상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궁극적으로 노자는 이러한 제반 지식론을 인성의 수양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것은 ‘自然’이라는 이상적 이념이 자리하고 있다. 도가에서 추구한 소국과민의 이상세계에 걸맞게도 노자는 인성을 무위자연의 세계에 초점을 맞춘 상태로 나아가도록 하였다. 요컨대 이 무위자연은 결국 노자의 지식 회의론으로 이어고 있음을 알게 된다. 아무튼 노자의 제반 지식관 연구를 통해서 미래 지식세계에의 연결은 차기 연구의 과제로 남겨둔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道와 言語에 있어 지식
2.1 지식의 의미
2.2 노자의 도와 지식
2.3 언어와 지식
3. 노자의 지식관
3.1 絶聖棄智와 지식
3.2 知者不博과 지식
3.3 無知無慾과 지식
3.4 不言之敎와 지식
4. 노자 지식관의 의의
4.1 유교의 人爲 비판
4.2 소박 혼돈의 처세론
4.3 상대지의 不可言詮
5. 결론
Abstract

저자정보

  • 류성태 Sung-Tae Ryu.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