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유명사의 의미론적 기능에 관한 연구 : 고대와 비잔틴 중세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On the semantics of Proper Names : A study on Greek and Byzantine language philosophy

김요한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34집 2004.09 pp.203-22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oper names are generally viewed as the semantically simples and most transparent of terms, being the singular designator, which is to say, the expressions for referring to unique objects, to individuals. Though seductive in its simplicity, this classical theory came up almost immediately against some severe difficulties, mainly with regard to the content of proper names which denote imaginary(non-existent) entities or in explaining the information content of statements of individual identity. And how could we maintain the role of proper names as rigid designators, in other words, how could we justify our conviction that we continue to refer through them always to the selfsame object, in spite of any transformations these object may have undergone in respect of their descriptive elements? And how can we explain our incapacity to provide any usable definitions for them?It is not my intention to review in this article the various solutions which have been proposed in recent times to these problems. I do however believe that these two theoretical poles, the designative and the descriptive, provide us with a useful frame of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corresponding positions adopted by those who dealt with this issue in antiquity.

한국어

연구자는 이 글에서 고유명사의 의미론적 기능에 관한 고대와 비잔틴 중세에 제기된 물음들을 부분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고유명사들의 독특한 특징은 그것들의 외연이 원래부터 하나의 개별적 대상으로 결정되어 있다. 고유명사들은 어떤 한정된 것, 즉 유일무이한 대상은 지시한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적 이론에 따르면 고유명사들은 내포적 내용 즉 기술적 내용을 결핍하고 있고 다만 순수한 지시어의 역할만을 수행한다. 즉 그것은 완전히 결정된 유일 무이한 외연만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고전적인 이론은 ‘페가수스’나 ‘키마이라’와 같은 상상적인 실체를 지시하는 고유명사들과 ‘알데바란(Aldebaran)은 황소자리중의 1등성(a-Tauri)이다’ 또는 ‘클라크 켄트는 슈퍼맨이다’와 같은 개별사물의 정체성에 관한 진술들을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 물음이 관한 다양한 접근방식들이 고대와 비잔틴 중세에 이루어지고 있음을 역사적인 순서에 따라 이 논문에서 고찰하고 있다. 또한 중요한 접근 방식이 비잔틴 중세에서 이루어졌음을 바실의 주장을 통해 살펴볼 것이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명칭들은 실체들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특성을 묘사하는 고유속성들을 나타낸다. 그는 고유명사들이 어떤 지시 틀과 전방조응의 법칙들에 근거해서 결정되는 의미를 구성하는 일련의 특징짓기 그룹들의 대표자들로서 특수한 형태의 대명사들로서 기능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구문론적 요소들이나 스토아학파의 존재론적 요소들에 의존하지 않고 고유명사들의 용도를 순수하게 의미론적인 기존들에 의해서 해석하고 있다. 따라서 바실의 주장에 따르면 고유명사가 실존하지 않는 어떤 것을 지시하는 경우도 이 이론을 통해서 설명될 수 있음으로 고전적 물음에 관한 한가지 해결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면서
2.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 이론
3. 스토아 학파의 고유성질 이론
4. 아카데미학파와 알렉산드리아 문법학자들
5. 바실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요한 Johann Kim.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인문학부(철학전공) 전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